인구 180만명 아래로 떨어진 전북도가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 유치해 200만명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4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현재 정부가 인구감소와 노령화 진행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는 이민청 설치, 유학생 규제 완화, 지역특화형 비자 등 이민 확대 정책에 대응해 전북도가 다양한 구성원에 대한 이민정책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내년 1월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이민 분야 특례법안을 통해 지역 구성원 확대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해외유학생(특성화고·마이스터고·글로벌 국제학교) 유치’와 ‘외국인 대학생 확대’ ‘광역지역특화형 비자 도입’ 등 3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이차전지 등의 신기술 분야 노동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 유학생의 유치하고 맞춤 기술교육에 이어 졸업 후 취업까지 연계한 프로그램과 시설마련을 제시했다.
이어 대학은 국내적으로 지·산·학 협력을 통해 지역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국제적으로는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교육, 취업 및 정주를 알선하여 청년 인구 댐 역할을 수행케 하자고 강조했다. 외국인 대학생 확대와 정착을 돕기 위해 유치-학업수행-취업-정착-사회통합의 단계별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또 광역단위에서 인구감소 위기대응과 글로벌 생명경제 도시 인적 기반 조성을 위해 지역특화형 비자를 지역내 기업과 교육기관과의 연계 등을 통해 광역화 모델의 시범 시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북 인구는 1970년 249만명에 이르렀으나 해가갈수록 감소해 현재 176만명에 그치고 있다. 2050년엔 150만명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희진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적극적인 외국인 정책의 시행으로 이민자 유입의 양적 확대만을 기대하는 것이 아닌, 이민자 지원 제도의 개선을 통해 이주민들과 같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