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하차도 안전시설 투자 확대…극한 호우 대응

입력 2023-09-03 08:22

경기도가 극한 호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하차도 안전시설 투자를 확대한다.

올해 태풍 등 비상단계에 맞춰 인력을 현장에 배치했으나 이상기후 장마와 국지성 집중호우를 감시·통제인력 강화만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도내 지하차도 302개 전체를 대상으로 호우·태풍 대비 침수 발생 가능성, 안전시설 현황 등을 조사, 이를 바탕으로 도비를 적극 투입해 자동 차단시설, CCTV 등 지하차도 안전시스템을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9월까지 302개 지하차도 전체를 대상으로 침수 우려 여부를 꼼꼼히 점검해 시설 개선이 필요한 지하차도에 대해 시·군 신청을 받아 연차별로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그간 지하차도는 국비와 특별교부세만 지원돼 한정된 지원과 시·군 예산만으로는 지하차도 안전시설 개선에 한계가 있었으며, 도는 재난관리기금(도비)을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도는 지하차도에 수위계, 자동 차단시설 설치, CCTV, 경보시설 등을 설치해 침수 상황을 자동 감시하고, 위기 징후 감지 발생 시 자동 또는 원격으로 차량의 진·출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전광판과 경보방송도 설치해 추돌·정체 등 2차 피해를 줄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평가 기준을 마련, ‘침수위험 지하차도 통제 및 등급화 기준’ 개선를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기존 기준이 침수 이력과 상습침수지역 등 과거 정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최근 극한 호우와 같은 예측하기 어려운 기후 위기 대응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최병갑 도 안전관리실장은 “최근 문제가 되는 있는 침수우려 지하차도에 안전시설을 강화하면 극한 강우에도 도민의 생명을 보호할 것”이라며 “경기도는 생명을 보호하는 재난 안전 기반시설에 최우선으로 재정을 투자하고,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제도 개선을 중앙정부에 적극 건의해 누구나 안전한 환경에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