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뎅기열’ 감염된 한국인 사망…“유행지역 각별 주의”

입력 2023-09-01 11:59
지난 10일(현지시각) 방글라데시 다카의 무그다 의과대학 병원에서 한 남성이 뎅기열 치료 중인 부인을 돌보고 있다. 방글라데시에서 올해 뎅기열 사망자가 300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AP뉴시스

최근 방글라데시를 방문한 한국인이 뎅기열에 감염돼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질병관리청과 외교부는 사업 목적으로 방글라데시와 아프리카를 자주 방문한 한국인 A씨가 지난달 22일 뎅기열 증상이 나타나 방글라데시 현지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으나 이틀 뒤인 24일 숨졌다고 1일 밝혔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5~7일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아직까지 효과적인 백신과 치료제는 없는 상태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뎅기열에 감염된 사례는 없었고, 대부분 유행국가를 방문했다가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기준 지난달 26일까지 집계된 한국의 뎅기열 환자는 10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배나 늘었다. 주요 감염국가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라오스,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이 많았다.

지난 10일(현지시각) 방글라데시 다카의 무그다 의과대학 병원에서 뎅기열 환자들이 치료받고 있다. AP뉴시스

뎅기열은 재감염 시 치명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만큼 뎅기열 감염력이 있거나 유행지역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뎅기열 위험국가에 체류 중이거나 방문 예정인 국민은 뎅기열 예방을 위해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 모기 기피 용품을 준비해야 한다”며 “외출 시 밝은색 긴 옷을 착용하고 3~4시간 간격으로 모기 기피제를 사용해 모기에 물리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오는 11월까지 공항과 항만의 국립검역소를 통해 ‘뎅기열 선제 검사’를 무료로 제공한다. 위험 국가에서 모기에 물렸거나 뎅기열 의심 증상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권고된다.

선예랑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