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의 마지막 날인 31일 한 달 중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이면서 가장 크고 밝은 달인 ‘슈퍼 블루문’이 뜬다. 국내에서는 오후 7시30분쯤 가장 큰 슈퍼문이 관측될 전망이다.
이날을 놓치면 ‘슈퍼문’이면서 ‘블루문’인 달은 14년 뒤에나 다시 볼 수 있다.
31일 한국천문연구원은 이날 올해 가장 큰 둥근달, 이른바 ‘슈퍼문’을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슈퍼문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천문학계에서는 보통 지구에 평소보다 더 가까워져 크고 밝게 보이는 보름달을 말한다. 슈퍼문일 때 달은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미니문)와 비교하면 14% 크고, 30% 밝게 보인다.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뜻한다. 달의 위상이 약 29.53일을 주기로 변하면서 2년8개월마다 나타나는 희귀한 현상으로 푸른 빛을 내는 달은 아니다.
특히 슈퍼문과 블루문이 겹치는 ‘슈퍼 블루문’이 뜨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가장 최근 ‘슈퍼 블루문’이 뜬 건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천문연에 따르면 이날 지구에서 달이 가장 둥글고 크게 보이는 시간은 한국시간 기준 오전 10시36분이다. 다만 실제 관측이 가능한 것은 해가 지고 달이 뜨기 시작한 이후이기 때문에 서울 기준 오후 7시29분에 가장 큰 슈퍼문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외 다른 지역의 월출·몰 시각은 천문연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의 ‘생활천문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영은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