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30일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검찰의 ‘소환조사 일정 줄다리기’에 대해 “(피의자가) 검찰에 언제 나가겠다고 전략게임을 하듯 미리 언론에 공개하는 경우는 없다”고 비판했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민주당 김회재 의원으로부터 ‘이 대표는 지난 24일이나 26일에 조사받겠다고 했는데 검찰은 왜 안 된다고 했느냐’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한 장관은 “(이 대표 수사는) 임의수사지만 피의자가 원하는 시간에 마음대로 갈 수 없다는 것은 (검사 출신인) 의원님도 잘 알고 있지 않으냐”며 “검찰이 소환하니 전략을 짜듯 언제 나가겠다고 하는 것은 수사에 임하는 태도는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예결위에서 왜 민주당 대표를 변호하려고 이런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며 “이 대표의 혐의는 많지만, 어느 하나도 민주당의 의정활동과 관련된 것은 없다”고 지적했다.
또 이른바 ‘민주당 돈봉투 사건’을 두고 김 의원과 설전도 벌였다.
김 의원은 2022년 회계연도 결산심사 등을 위해 마련된 전체회의에서 검찰 수사 등을 언급하며 “한 장관은 지난 6월 국회 본회의장에서 돈봉투를 받은 의원 20명이 이 자리에 앉아 있다고 특정했는데 증거 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한 장관은 “다른 분도 아니고 김 의원이 (돈봉투를) 묻는 것은 이해 충돌”이라며 “(20명에) 속해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돈봉투를 수수한 혐의를 받는 김 의원이 국회에서 해당 사건과 관련한 질문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취지다. 앞서 돈봉투 사건 관련 윤관석 의원의 영장 심사 과정에서 검찰이 특정한 돈봉투 수수자 20명에 김 의원이 포함됐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한 장관의 도발에 김 의원은 발끈했다. 김 의원은 “윤 의원을 기소하면서 공소사실에 돈 받은 의원을 포함 못 했는데, 증거가 없는 것 아니냐”며 “저는 그런 (돈을 받은) 사실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또 “(증거가) 없으면 수사를 종결해야 한다”며 “(의원들을) 집어넣지도 못하고 수사 종결도 안 하고 불러서 조사도 안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한 장관도 “본인 사건을 이야기하며 증거가 있느냐고 법무부 장관에게 질의하는 것을 보면 국민은 경악할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또 “이 자리가 본인을 변호하는 자리가 아니지 않으냐.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라고도 지적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