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기후 위기로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자연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재해복구 추진단을 구성해 운영에 들어간다. 피해 발생 전 상시 대규모 대응단을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는 자연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김성중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총 7개반으로 재해복구 추진단을 구성했다고 28일 밝혔다.
제주도에 16개 분야 48명으로 재해복구공사 지도반을 1개 편성하고,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주택복구지원반, 설계지원반, 예산지원반, 계약담당반,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운영 지원반, 편입용지 보상추진반 등 6개 반을 구성했다.
또 설계 자문을 위해 전문자격을 지닌 민간 전문가 89명의 인력풀도 구축했다.
재해복구 추진단은 하천이 범람하거나 토사가 무너지는 등 대규모 자연재난 피해가 발생했을 때 각 반이 역할을 분담함으로써 현장조사, 복구 예산 확보, 설계 발주, 토지 보상 등 복구 절차를 동시에 추진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피해 주민의 일상 복귀 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함께 구성한 민간 전문가들은 제주도 안전관리자문단, 제주도 재해영향평가위원 등으로 활동 중인 이들로, 지역 실정을 자세히 파악하고 있는 만큼 설계 자문 시 지역성과 전문성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강동원 제주도 도민안전건강실장은 “기후변화로 자연재난 발생이 빈번해지면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복구 정책 마련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추진단 운영으로 재해복구사업을 조기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