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금융’ 투자 촉진을 최우선 추진 목표로, 정부의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나선다.
27일 부산시에 따르면 문현금융단지와 북항 2단계 재개발 일대를 ‘부산금융특구’로 지정하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동원키로 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 주도의 특구 개발로 개인과 기업의 이전을 촉진하고, 민간 자본을 활용한 지역 균형발전을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핵심 정책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도권을 갖고 지역에 특화된 업종과 입지를 확보하고 ‘앵커 기업’을 유치해 지역형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기회발전특구에 지정되면 역대급 세금 감면과 규제 특례 3종 적용 등으로 기업과 일자리가 늘고 지역경제 활성화가 예상된다.
시는 금융,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등 부산의 미래 핵심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전략을 보면 우선 포화상태인 문현금융단지를 북항 2단계 재개발 사업지로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해양금융과 파생금융 등 부산만의 특화된 금융 기회발전특구를 부산의 1호 특구로 지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KDB산업은행을 금융특구의 앵커기업으로 정했다. 산업은행 이전을 선두로 추후 있을 2차 공공기관 이전 논의에서 추가 금융공기업들의 이전을 최대한 끌어내겠다는 계획이다. 외국계 금융기관 등 경쟁력 있는 기업들 유치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아울러 시는 금융 기회발전특구 내에 부산금융특구청(가칭)을 신설키로 했다. 수도권에 집중된 금융업 관련 각종 인허가와 감독 권한을 부산으로 분산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시는 금융 외에도 기장군 동남권방사선의과학산단을 중심으로 전력반도체특구와 이차전지·모빌리티특구도 지정 신청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이밖에 케이콘텐츠특구와 바이오·헬스특구, 해양디지털특구 등을 차례로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경쟁력 있는 기업 유치 활동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그간 서울에서 개최하던 외국인 투자 행사를 오는 11월 부산에서도 개최하기로 했다. 10월에는 서울에서 수도권 소재 대기업과 강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연다. 시는 기업 유치를 가속하기 위해 특화한 인센티브와 규제 완화 대책을 마련해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