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앞으로 30여년간 계속될 방류 과정에서도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정보를 공개하기를 기대하고, 또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이어 “과학적 기준과 국제적 절차에 따라 처리되고 방류된다면 지금 상황에서 국민들이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전 세계 과학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정부를 믿고, 과학을 믿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한 총리는 이날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 이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한 담화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 총리는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를 견고하게 유지하겠다”면서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만에 하나의 문제 가능성까지 고려해 철저하게 대비하겠다”고 다짐했다.
한 총리는 정부 대책과 관련해 “2주일에 한 번씩 우리 전문가를 현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소에 파견해 일본이 IAEA 안전기준을 지키고 있는지,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지 철저하게 모니터링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또 “한국과 IAEA 양측의 정보공유 담당 전담관이 지정돼 소통을 개시하고 매일 최신 정보를 제공받고 정기 화상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로 확보해놓은 수산물 소비 활성화 예산 640억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하고 있다”면서 “또한, 수산물 긴급경영안정자금을 5배 확대하고 대출한도를 한시적으로 상향하겠다”는 지원책을 설명했다.
한 총리는 야권을 겨냥해 “지금 우리 국민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것은 과학에 근거하지 않은 가짜 뉴스와 정치적 이득을 위한 허위 선동”이라고 비판했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현재 거기(IAEA 현장 사무소)에 (우리) 전문가가 가 있지는 않다”면서 “이르면 주말 중에는 (우리 전문가가) 출국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별도의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한 총리가 정부의 입장을 충분히 전달했다고 생각한다”며 “한 총리가 말했듯이 우리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것은 정치적 선동이 아니라 과학이다”고 말했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