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24일 국토부가 발표한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안)에 따라 공항 적기 개항에 따른 주변지역 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국토부 발표에 따르면 24시간 운영과 물류·여객의 복합 포트, 부산신항과 연계한 항공복합물류 등 공항경제권 활성화, 첨단기술의 안전한 스마트, 저탄소·친환경 공항으로 2029년 12월 개항을 목표로하고 있다.
기본계획은 활주로, 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포함하는 667만㎡의 부지조성과 도로, 철도, 여객선, 도심항공교통(UAM) 등 인입교통망, 사업의 설계시공 방식과 가덕도신공항 건설공단 설립을 통한 건설·운영 등이다.
정부 계획에 따라 신공항이 적기 개항하면 공항 주변 개발과 진해신항과의 연계 효과가 기대되며 신공항 건설에 따른 도로, 철도, 연안여객터미널, 도심항공교통 등 인입교통망 구축으로 신공항과 신항 접근성이 향상돼 물류비 절감도 기대된다.
경남도는 신공항 건설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신공항 및 신항 주변 배후도시 개발 여건을 마련하고 교통망 개선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또 신공항 인근 배후도시 개발을 위해 법령개정을 지속 건의해 가덕도신공항특별법의 주변개발 예정지역 범위를 기존 반경 10㎞ 내에서 10㎞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지정할 수 있도록 확대하는 성과가 있었다.
한편 경남도는 신공항과 신항 주변 물류중심 배후도시 기반 조성을 위해 ‘가덕도신공항 배후도시 개발구상용역’을 하고 있으며 올해 말 배후도시의 개발방향 및 개발구상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 신공항과 신항 접근성 향상 개발 효과 확산을 위해 경남과 신공항을 잇는 접근교통망 필요성을 신공항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나아가 도로・철도 국가 기본계획에도 반영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지속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신공항이 적기 개항되면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 된다”며 “건설과정에서 도내 건설업체 참여 유도와 어업피해 최소화로 진해신항과 함께 공항건설이 도의 경제 활성화의 한 축이 되도록 대응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