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업계가 국내 최대 해운선사인 HMM이 해외 기업에 매각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와 부산항발전협의회는 23일 성명서를 통해 “HMM의 예비입찰사 선정에 독일 하팍로이드가 포함됐다”며 “국민 혈세를 통해 살려놓은 HMM의 매각 대상자에 해외 선사를 포함시킨 것에 대해 과연 해운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 의심이 간다”고 비판했다.
해외로 넘어간다면 경제 및 안보 측면에서 큰 손실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해운업은 한국 수출입 물량의 99.7%를 담당하고 있다”면서 “독일의 하팍로이드에 HMM을 매각한다면 우리나라 컨테이너 운송자산, 터미널 및 수십 년간 쌓아온 해운물류 노하우 등 환산할 수 없는 국가자산의 해외유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물류난 당시를 회상하며 해운업의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들은 “지난 2021년 코로나19로 인한 세계적인 물류난으로 해외 선사들이 부산항 기항을 기피하는 상황에서 수출품을 실을 선박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우리 수출기업들을 위해 HMM이 추가 선복을 투입하면서 문제를 해결한 바 있다”면서 “수출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 있어서 HMM은 꼭 필요한 핵심 자산”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1일 HMM 경영권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이 마감됐는데, 인수전에는 독일 하팍로이드를 비롯해 LX그룹 동원그룹, 하림그룹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