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의 안전성을 점검하기 위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현장 사무소에 우리 전문가의 상주보다 정기 방문을 “더 나은 선택”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2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독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전문성을 가진 인원이 IAEA 현장 사무소에서 상당히 잦은 간격으로 가 확인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우리 전문가가 IAEA 직원으로 들어가면 종속될 수 있어 독립적 지위를 가지고 오염수를 검증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박 장관은 판단했다.
정부는 당초 한국 전문가의 현장 사무소 상주 방식으로 오염수의 안전성을 점검하는 방안을 IAEA와 협의했다. 하지만 그 밖의 다른 국가와 형평성 문제로 정기 방문 방식이 채택됐다.
박 장관은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리 정부의 준비 상황에 대해 “만반의 대처를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일본과의 소통에 대해서는 “움직임을 계속 파악해왔다”고 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2일 기시다 후미오 총리 주재로 진행한 관계 각료회의에서 오염수의 오는 24일 해양 방류 시작을 결정했다. 박 장관은 “각료회의 개최로 방류 개시를 결정할 것이라는 얘기를 지난주 금요일(18일), 수일 내로 개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얘기는 이번주 월요일(21일)에 들었다”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오염수의 한반도 영향에 대해 “태평양을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돌아 온다. (한국에 도달할 때까지) 해류 거리는 2만㎞다. 그것도 약 4~5년을 소요해야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에 나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객관적 근거의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이 문제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괴담이나 또 거짓 정보가 유포돼 국민이 불안하게 생각한다면 국익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