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2주년을 맞은 ‘자치경찰제’가 경기도민의 생활속에 점점 녹아들며 체감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경찰제는 자치분권 이념하에서 시·도지사 소속의 자치경찰사무소를 관창하는 자치경찰위원회를 두고 지역 특성에 접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교통, 경비 등 주민밀착형 민생치안 활동을 수행한다.
경기도가 자치경찰제 시행 2주년을 맞아 진행한 ‘자치경찰 도민 체감 인지도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민 10명 중 7명은 자치경찰제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22%p가량 상승한 수치다.
이번 설문조사는 자치경찰제에 대한 도민 인식과 도민이 필요한 치안 정책 발굴을 목적으로 시행됐다. 자치경찰제 인식, 도민 생활 안전, 사회적 약자보호, 교통안전 등 총 11개 문항으로 유·무선 무작위 번호 걸기(RDD)를 활용한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이뤄졌다.
먼저 도민들은 ‘경기도 자치경찰위원회, 얼마나 알고계십니까?’라는 질문에 59%가 ‘들어본 적 있다’, 13%가 ‘내용까지 잘 안다’라고 답해 72%가 경기도 자치경찰위원회에 대해 알고 있었다. 지난해 같은 질문에는 50%가 알고 있다고 답해 전년대비 인지도가 2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경찰위원회가 어떤 정책을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냐는 질문에는 ‘아동·여성·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이라는 응답이 28.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학교폭력, 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정책(22.7%)’, ‘지역 맞춤형 범죄예방 정책(18.9%)’이 주를 이뤘다.
신현기 경기도북부자치경찰위원장은 “높아진 도민 인지도만큼 자치경찰제가 도민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게 향후 정책 시행 시 도민 의견이 적극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7월 26일부터 30일까지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3000명 대상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1.8%p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