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오는 24일 방류하기로 결정했다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발표가 보도되자 제주에서 반발 성명이 잇따랐다.
제주지역 농수산업 단체와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일본 핵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제주범도민운동본부’는 22일 성명을 내 “일본 정부는 전 세계적 재앙인 핵 오염수 해양투기 결정을 중단하고, 윤석열 정부는 일본에 강력히 항의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이제 제주 어민의 생존은 어떻게 할 것이며 방사능으로 오염되는 바다는 어떻게 할 것인가”라며 “제주만의 문제로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금이라도 당장 일본 정부에 항의해 국민이 인정할 수 있는 과학적 검증이 이뤄질 때까지 핵 오염수 투기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도내 19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도 성명을 냈다.
이들은 “핵 오염수 해양투기 결정은 어떠한 이유로도 납득할 수 없는 테러 선언”이라며 “과학적으로 안전하지도 않고,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으며, 환경 정의를 정면으로 거스르고 인류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갉아먹는 행위”라고 규탄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당장 일본 정부에 오염수 투기 중단을 요구하고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고, 오영훈 제주도정은 주제주일본국총영사를 초치해 엄중 항의하라”고 요구했다.
제주도는 이날 오후 예정된 김희현 정무부지사 주재 1차산업 현안업무 회의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대응책을 점검했다.
도는 원전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면 수산물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제주도의회 및 수산업계와 수산물 소비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제주산 수산물 수출지역을 기존 미국과 일본에서 중국, 베트남, 인도, 싱가포르 등으로 다변화해나가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수산물 안전성 문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산지 위판장에 방사능 측정장비를 보급하고, 검사 결과를 도민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제주도청 홈페이지와 대형 전광판, 버스정류소에 수산물 안전신호등을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또 활참돔 등 일본 수입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표시 지도·단속도 강화할 방침이다.
김희현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회의에 앞선 모두 발언에서 “일본이 오염수 방류를 24일에 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도는 이날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사항을 2단계 주의에서 3단계 경계로 격상해 6개월 동안 유지한다”며 “도는 도민 건강과 어민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