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건강, 가사 일상문제 해결 등 생애주기별 맞춤 지원을 위한 4가지 추진전략과 77개 사업에 4816억원을 투입해 고독사 예방에 나선다.
경남도는 주변과 단절 고립되게 살지 않고 고독하게 임종을 맞지 않도록 하는 ‘경남도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을 올해 처음 수립해 발굴·지원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최근 1인가구 중심의 가족구조 변화와 개인주의 문화 확산, 감염병 장기화 등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단절에따른 경남형 복지정책을 자체 수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회적 고립과 단절 상태에서 누구의 도움 없이 외롭게 생활하고 사망 후 일정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고독생과 고독사(5년간 경남 고독사 발생 1081건) 문제도 지속되고 있다.
도는 지역 실정에 맞는 시행계획 수립을 위해 경남연구원과 경남도사회서비스원, 시·군 등과 논의해 다양한 과제를 발굴·검토하고 현장 의견을 반영해 시행계획을 완성했다.
이번 계획에는 인구 특성, 고독사 발생 현황, 예방 정책, 전달체계 등을 담고 ‘지역사회와 함께 고독·고립 위험군 선제적 발굴과 예방’을 목표로 4가지 추진전략과 77개 사업에 4816억원을 투입한다.
경남형 고독사 예방체계 구축과 추진기반을 담은 4가지 추진전략은 고독사 위험군 발굴 및 발굴조사 추진과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한 연결강화, 생애주기별 서비스 연계·지원, 고독사 예방·관리 정책 기반 구축이다.
주요사업은 1인가구 사회적관계망 형성 지원, 청년 마음건강지원, 경남행복내일센터 운영, 노인지원상담실 운영 등이다.
이미화 경남도 복지정책과장은 “외로움과 고독속에 살고있는 어려운 도민이 지역사회와 함께 할 수 있도록 경남도가 연결고리 역할을 하겠다”며 “고독사 위험군 발굴에 도민들의 많은 관심과 노력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올해 경남도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의 차질 없는 추진과 함께 연말까지 내년 시행계획을 마련해 관계부서, 시·군과 함께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