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메릴랜드주 캠프데이비드에서 18일(현지시간)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안보 분야 이외에도 글로벌 공급망 연대, 미래 핵심신흥기술 선도, 금융안정 노력 등 3국 간 경제 분야 협력을 대폭 강화하기로 합의한 것도 큰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이들 분야의 기존 양자 간 협력을 ‘한·미·일 3각 협력’ 체제로 격상시킨 점도 눈에 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3국이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의 첨단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조(한국), 원천기술(미국), 소재(일본) 분야에서 세 나라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만큼 이를 기반으로 ‘공급망 3각 연대’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반도체 소재나 핵심광물 등 주요 품목에 대해 ‘공급망 조기경보체계’를 강화하고, 한·미·일 재외공관 간에도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정보교환 등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3국 간 협력을 통해 외부의 시장 교란 요인에 대해 공동 대응이 가능해져 앞으로 공급망 안정성이 획기적으로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 정상은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인공지능(AI), 양자, 우주, 신소재, 첨단컴퓨팅 등의 핵심신흥기술 분야에서도 협력을 심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흥기술의 ‘공동개발→국제표준화→기술보호→인력교류’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협력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핵심기술을 탈취하려는 외부 시도에 공동대응하기로 했으며, 암 퇴치 프로젝트 등에 대해선 3국 간 인력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3국 정상은 또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기존에도 한·미 간 외환·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협력 체제가 구축돼 있고, 한·일도 지난 6월 8년 만에 통화스왑을 재개키로 했지만 이번 회의를 통해 이런 양자 차원의 금융안정 협력을 3국 차원으로 확대·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금융협력 협의체로 ‘한·미·일 재무장관회의’도 신설하기로 했다.
메릴랜드=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