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주요 언론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15일 광복절 축사에 대해 역사 언급을 빼고 일본을 협력 파트너로 표현한 데 주목했다.
아사히신문은 16일 ‘윤 대통령 광복절 축사서 일·미 안보협력 강조’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윤 대통령이 일본에 대해서 지난해 연설과 마찬가지로 비판적 발언 없이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며 관계 개선의 의욕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핵 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북한을 비판하고 오늘 7월 한·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 미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또 기사와 별도로 ‘일본과 한국 후퇴하지 않게 노력을’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싣고 “윤 대통령이 15일 일본의 식민 지배로의 해방을 기념하는 연설에서 일본을 파트너라고 부르며 안보와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갈 뜻을 밝혔다”며 “이번만큼은 한·일 관계 개선의 발걸음이 궤도에 오르기를 기대해 본다”고 했다.
요미우리신문도 이날 ‘윤 대통령 역사문제 언급 없어…일본은 협력 파트너’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윤 대통령의 경축사에 대해 “옛 징용공(일제 강제동원 노동자의 일본식 표현)이나 위안부 등 역사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고 일본의 책임을 호소해 온 역대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와 차이가 두드러졌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대해서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며 일본과의 파트너십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례적으로 일본 비판 없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역사 문제 등에서 일본에 대한 비판이 전혀 없는 이례적인 연설이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가 정상궤도로 돌아가고 있는 것을 고려해 안보와 경제협력 파트너로서 미래지향적 관계를 전면에 내세웠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윤 대통령이 15일 연설에서 일본이 유엔사령부에 제공하는 후방 기지가 자국의 안보에 중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면서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해방을 기념하는 광복절에 역사문제를 거론하지 않고 일본과 안보협력을 강조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15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대강당에서 열린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경축사를 했다. 역사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일본을 협력 파트너로 규정하는 내용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극우 유튜버의 독백”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