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심 곳곳의 상권 활성화가 겉돌고 있다. 대표적 번화가는 물론 대형 전통시장이 장기적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해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15일 광주시와 각 자치구에 따르면 호남 1번지로 꼽히는 핵심 상권 충장로의 경우 2010년대 이후 급격히 쇠퇴한 상권을 되살리기 위한 ‘충장로 상권 르네상스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2026년까지 100억원을 들여 충장로와 금남(충금) 지하상가를 이어 입체상가로 꾸미고 다양한 특화거리를 조성하는 것을 뼈대로 한 상권활성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자체와 상인회는 1990년대까지 발 디딜 틈 없을 만큼 호황이던 구 도심의 상권 부활을 위해 충장로 1~5가에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판매장터와 볼거리도 만들기로 했다.
충장로 상권을 지켜주던 전남도청이 2005년 전남 무안 남악 신도심으로 이전하면서 ‘도심 공동화’가 뚜렷한 데다 상무지구 등 부도심으로 상권이 분산되면서 구 도심이 쇠퇴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충장로 2가 K-pop스타의 거리, 충장로 4가 혼수의 거리, 영화의 거리 등은 이미 광주시가 조성사업을 마친 특화거리로 혈세의 중복 투자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올 들어 3차원 가상공간인 메타버스에 ‘비대면 충장로 쇼핑몰’을 구축한다는 사업구상은 충장로 상인단체의 반대로 착수조차 못 할 처지다.
온라인 플랫폼보다는 비대면 상권 활성화가 우선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옛 전남도청 부지에 2015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개관했지만 충장로 상권은 여전히 부활의 날갯짓을 하지 못하고 있다.
호남에서 가장 큰 양동시장의 상권활성화 역시 관리부실로 관련기관이 사업비를 회수하는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
광주경제고용진흥원이 ㈜청년미래전략센터에 운영을 위탁한 ‘청년·중장년 창업지원사업’이 부적격자를 선정한 것으로 드러나 소상공인지상진흥공단(소진공) 등이 지원한 6600만원의 환수 결정이 내려졌다.
45세 이하 예비 창업자가 대상이지만 소진공이 회계법인과 함께 지난 5월 양동시장 현장점검을 벌인 결과 지원조건에 맞지 않는 52세의 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부적절한 사업비 집행이 드러난 데 따른 것이다.
사업 주관기관으로 예산 집행 주체인 광주경제고용진흥원을 통해 중장년 창업지원 등에 투입된 예산은 6억 4000만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낙후된 전통시장 상권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양동시장 활성화 사업 추진 기관의 예산집행과 사후 관리가 총체적으로 부실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광주시와 각 자치구는 이해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교차하는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상권 활성화에 더 신중을 기해 구체적 정책을 수립하고 교통체계 개선 등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광주하면 떠오르는 충장로와 양동시장 상권이 화려하게 부활하도록 다양한 활성화 방안을 찾고 있다”며 “철저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신뢰할만한 정책적 합의를 끌어낼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