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년 만의 해후…독립운동가 최재형·최엘레나 부부합장식

입력 2023-08-13 16:26
국가보훈부는 제78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순국 103년 만에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여사를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108번 자리에 모시는 부부합장식을 거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AI로 복원한 최재형 선생-최 엘레나 여사의 모습. 국가보훈부 제공

국가보훈부는 제78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최 엘레나 여사의 부부 합장식을 거행한다. 최 선생이 1920년 러시아에서 순국한 지 103년 만이다.

합장식에는 최 선생의 유족과 이종찬 광복회장,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박민식 보훈부 장관 등이 참석한다. 합장식의 주제는 ‘백 년 만의 해후, 꿈에 그리던 조국 대한민국’이다.

키르기스스탄에서 국내로 옮겨진 최 엘레나 여사의 유해와 최 선생 순국 추정지인 러시아 우수리스크의 최재형기념관(옛 최 선생 고택) 뒤편 언덕에서 채취한 흙을 인공지능(AI)으로 복원한 부부의 영정사진, 위패와 함께 모신다.

부부는 1970년 최 선생의 가묘가 조성됐던 애국지사 묘역 108번 자리에 안장된다. 이 자리는 당초 후손을 자처했던 이들이 유족연금을 노린 가짜였다는 사실이 드러난 뒤 멸실돼 지금까지 비어 있었다.

9세 때 연해주로 이주한 최 선생은 사업을 통해 축적한 자금을 조국 독립과 이주 동포를 위해 사용했다. 연해주 일대에서 의병 투쟁을 전개했고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도 지원했다. 이런 활동으로 ‘시베리아 동포의 대은인’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렸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