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계열 샤니 성남 제빵공장에서 끼임 사고로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던 50대 여성 근로자가 끝내 숨졌다.
지난해 10월 같은 SPC 계열사인 SPL 평택 제빵공장에서 20대 여성 근로자가 끼임 사고로 숨진 지 약 10개월 만이다.
경찰은 기계를 잘못 조작해 사고의 원인을 제공한 근로자를 형사 입건해 사건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10일 경기 성남중원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8일 경기도 성남 중원구 상대원동 소재 샤니 제빵공장에서 반죽 기계에 끼여 배에 중상을 입은 A씨가 사고 이틀 뒤인 이날 낮 12시30분쯤 숨졌다.
A씨는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호흡과 맥박이 돌아와 응급수술을 받았지만 결국 회복하지 못했다.
앞서 A씨는 2인 1조로 원형 스테인리스 통에 담긴 반죽을 리프트 기계로 올려 다른 반죽 통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던 중 화를 입었다.
동료 근로자 B씨가 A씨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기계를 작동시킨 것이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다.
경찰은 B씨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아울러 공장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다른 안전 수칙 위반이 없었는지 조사 중이다.
SPC는 사고 발생 당시 입장문을 통해 “불의의 사고를 당하신 직원과 가족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에 성실한 자세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SPC 계열 제빵공장에서는 근로자 끼임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SPC 측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말 뿐이었다.
지난해 10월 15일에는 20대 여성 근로자가 같은 SPC 계열사인 SPL 평택 제빵공장에서 소스 교반기(혼합기)를 가동하던 중 사고로 숨져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 근로자는 가로·세로·높이가 약 1m, 깊이 50∼60㎝ 정도 되는 오각형 모양의 교반기에 마요네즈와 고추냉이 등 배합물을 넣어 섞는 작업을 하다 기계 안으로 상반신이 들어가는 사고를 당했다.
이후 SPC를 향한 책임론이 불거지며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이에 SPC그룹 회장이 직접 대국민 사과를 하며 비난 여론 진화에 나섰다. SPC그룹은 향후 3년간 총 1000억원을 투입해 안전성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또 한 번의 끼임사고를 막지 못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