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동성애’ 표현 금지…‘성적 일탈’로 써야

입력 2023-08-09 18:17
지난달 12일(현지시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쿠란 소각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사진은 시아파 무슬림들이 성소수자를 상징하는 무지개 깃발을 태우고 있는 모습. AP=뉴시스

이라크 당국이 언론매체에 ‘동성애’라는 표현을 금지하고 ‘성적 일탈’이라는 용어를 대신 사용하라고 명령했다.

이라크 통신 및 미디어 위원회가 8일(현지시간) 자국 내 언론과 소셜미디어 등에 이 같은 지시를 내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동성애’(homosexuality)라는 표현은 ‘성적 일탈’(sexual deviance)이라는 용어로 대체해 써야 한다. 또 생물학적인 성이 아니라 사회적 의미의 성을 칭하는 ‘젠더’(gender)라는 단어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번 조치는 이동통신업체는 물론 인터넷 플랫폼 업체, 모바일 앱 등에 모두 적용된다. 이라크 정부 대변인은 해당 규제를 어길 경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고 말했다.

1월24일(현지시간) 파키스탄 페샤와르에서 파키스탄 마르카지 무슬림 연맹 지지자들이 스웨덴 국기를 불태우고 있다. 덴마크 극우 정당 라스무스 팔루단 대표가 스웨덴에서 이슬람 경전인 쿠란 사본을 불태운 것에 분노해 이같은 시위를 벌인 것이다. AP=뉴시스

이번 규제는 최근 두 달 사이 성소수자를 향한 비난이 고조되면서 나왔다.

앞서 스웨덴과 덴마크 등에서 이슬람교 경전 ‘쿠란’을 짓밟고 불태우는 시위가 잇따랐는데, 이는 이슬람 국가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이라크 시민들은 ‘쿠란’ 소각 시위에 맞서 성소수자를 상징하는 ‘무지개 깃발’을 불태우는 보복 시위를 벌였다. 또 이라크 주요 정당들 또한 성소수자 인권에 대해 거센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파키스탄 이슬람 포럼 연합 활동가들이 지난달 2일(현지시간) 카라치에서 이슬람 경전 '쿠란' 소각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뉴시스

이라크는 동성 성관계를 불법으로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성애가 확산하는 것을 억제할 목적으로 느슨하나마 처벌 조항을 정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에서 동성 성관계를 불법으로 정한 국가는 60여 곳이며, 합법화한 국가는 130여 곳이다.

선예랑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