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청약시장의 지역별 편차는 지난달에도 극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쟁률은 100대 1을 넘은 반면 인천과 부산 등은 1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9일 직방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1순위 청약경쟁률(이하 1순위)은 17.8대 1이었다.
6월(7.1대 1)과 비교해 두 배 넘게 상승한 것이다.
청약미달률도 14.8%로, 6월(21.1%) 대비 6.3% 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특히 두드러졌다.
청약경쟁률을 보면 서울은 101.1대 1, 전북 85.4대 1, 경기 22.2대 1, 강원 9.9대 1, 경남 2.3대 1을 기록했다.
반면 대전 0.8대 1, 인천 0.6대 1, 부산 0.3대 1, 제주 0.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청약 미달 지역에 광역시 3곳이 포함됐으며 대구와 광주, 울산 등 나머지 광역시에서는 7월 분양이 없었다.
청약미달률도 서울과 경기, 전북에서 0.0%를 기록했다.
강원 3.7%, 경남 11.9%, 대전 25.4%, 인천 43.8%, 부산 65.6%, 제주도 95.0% 순이었다.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은 단지는 서울 용산구 용산호반써밋에이디션으로, 162.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광진구 롯데캐슬이스트폴(98.4대 1), 전북 전주 에코시티한양수자인디에스틴(85.4대 1), 경기도 평택 평택고덕국제신도시A-49블록호반써밋3차(82.3대 1)가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대전 동구 가양동다우갤러리휴리움(0.8대 1), 인천 서구 인천연희공원호반써밋(0.6대 1), 부산 금정구 아센시아더플러스(0.3대 1) 등은 부진한 결과를 나타냈다.
직방은 “지난달 아파트 청약시장은 서울과 광역시 결과가 극명하게 갈리는 양상이 나타났다”며 “서울 분양단지들이 청약 흥행에 성공한 영향으로 전국 청약경쟁률도 큰 폭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