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유니버설과 AI 딥페이크 음악 용 라이선스 협상

입력 2023-08-09 06:36 수정 2023-08-09 11:08

구글이 유니버설 뮤직과 아티스트의 목소리나 멜로디를 생성형 인공지능(AI)에 합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AI 음악을 인정하고 이를 수익창출 모델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4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구글과 유니버설은 AI로 생성된 음악을 위해 아티스트의 목소리나 멜로디를 라이선스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이번 논의는 새로운 AI 기술의 영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업계와 파트너십을 맺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협상은 리오르 코헨 유튜브 글로벌 음악 부문 책임자가 이끌고 있다. FT는 “양측 논의는 초기 단계로 제품 출시가 임박한 것은 아니지만, 팬들이 합법적으로 음반 트랙을 제작하고 저작권 소유자에게 대가를 지급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아티스트는 이를 허락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구글은 최근 간단한 텍스트를 입력하면 AI가 어울리는 음악을 만들어주는 ‘뮤직LM’을 개발했다.

FT는 “워너 뮤직도 구글과 관련 상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최근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딥페이크 음악에 대한 논란도 확대돼 왔다. 기존 음악을 학습해 만든 AI 음악의 창조성이나 예술적 완결성을 인정할지와 이와 관련한 저작권 문제가 핵심이었다. 특히 기존 아티스트의 목소리나 사운드를 모방한 딥페이크 노래가 급증하고 있지만, 대체로는 해당 아티스트의 동의 없이 활용되고 있다.

실제 지난 4월 스포티파이와 애플뮤직 등 글로벌 음원 플랫폼에는 유명 래퍼 드레이크와 싱어송라이터 위켄드의 목소리가 담긴 음원 ‘하트 온 마이 슬리브(Heart on My Sleeve)’가 올라왔는데, 이는 ‘고스트라이터’라는 틱토커가 생성형 AI로 만든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두 가수의 소속사인 유니버설뮤직은 저작권 침해 문제를 들어 각 플랫폼에 음원 삭제를 요청했다. 유니버설뮤직은 스포티파이와 애플에 AI 학습 때 자사 음원을 사용하지 말 것도 주문했다.

FT는 “AI가 주목받으면서 일부 유명 스타들은 자신의 노래와 목소리를 모방한 가짜 버전으로 인해 자신의 작품 (가치가) 희석될까 봐 불안감을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제프리 할스톤 유니버설 뮤직 법률 고문도 지난달 미 의회에서 “아티스트의 목소리는 종종 그들의 생업에 가장 가치 있는 부분이며, 이를 도용하는 것은 수단이 무엇이든 잘못된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생성형 AI를 활용한 창작을 실험적으로 평가하며 긍정하는 아티스트들도 적지 않다. 최근 비틀스 멤버인 폴 매카트니는 AI 기술을 이용해 과거 데모 테이프에서 추출한 존 레넌의 목소리로 신곡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일렉트로닉 아티스트인 그라임스는 AI가 생성한 노래에 자신의 목소리를 사용하도록 하고 로열티를 나누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