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전환 이후 여객 수요 폭발로 고공행진 중인 저비용항공사(LCC)가 2분기에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항공업계 전통적인 비수기인 2분기에 호실적을 거둔 LCC가 성수기인 3분기에 어떤 성적을 낼지 관심이 쏠린다.
제주항공은 8일 별도 기준 매출액 3968억원 영업이익 23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95.6% 늘었고, 영업이익은 550억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일본과 동남아 위주로 노선을 운영한 것이 호실적을 견인했다. 제주항공은 8월 기준 국내 LCC 중 가장 많은 37개 도시로 운항하고 있는데, 국제선은 50개 국내선은 6개다. 이중 일본(28.6%)이 14개 노선으로 가장 많았고, 중화권(26.5%), 필리핀 6개 노선(12.2%) 등이 뒤를 이었다.
에어부산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에어부산은 올해 2분기 매출액이 1983억원, 영업이익 339억원, 당기순이익 15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2분기 839억원보다 136%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에어부산이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던 2019년 1분기와 비교해도 각각 517%, 717% 늘었다.
진에어는 2분기 별도기준 매출 2590억원, 영업이익 178억원, 당기순이익 10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1264억원과 비교해 105%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진에어는 상반기 매출 6116억원, 영업이익 1027억원을 기록하면서 반기 기준 최대 실적 달성했다.
티웨이항공은 앞서 올해 2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2861억원, 영업이익 19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티웨이는 “일본·동남아 노선 운항 재개와 지방공항인 청주 노선 통한 신규 취항 등에 따른 여객 수요 증대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LCC가 전통적 비수기로 불리는 2분기에 호실적을 거둔 것은 리오프닝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점, 동남아·일본 등으로 여행을 떠나는 이들이 많은 점 등이 꼽힌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폭발한 여객 수요가 줄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여름방학, 휴가철 등이 포함된 3분기 성수기에 더 높은 실적이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앞서 여름철 성수기 인천공항 이용객수가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86%까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