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초등교사노동조합 등 교원단체가 8일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서 2년 전 두 명의 교사가 6개월 새 잇달아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에 대해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초등교사노조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 사태는 교사 위에 군림하는 제왕적 학교장과 교사의 안위는 안중에도 없는 ‘교육방해청’의 협업이 만든 죽음에 대한 은폐 행각”이라고 비판했다.
2021년 경기도 의정부시의 한 초등학교에서 5학년 담임을 맡았던 20대 A씨와 B씨가 6개월 사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MBC 보도에 따르면 두 교사는 학교에서 학부모 민원 등으로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23세였던 A씨는 발령 한 달 만에 우울증 진단을 받고, 자신의 부모에게 교육 활동 관련 스트레스를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바로 옆 반 담임을 맡았던 25세 B씨도 교사 생활 시작 때부터 학부모 항의에 시달렸다. 유족들은 B씨가 휴직 후 입대를 한 뒤에도 항의가 계속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학교 측은 이들의 죽음을 ‘단순 추락사’로 교육청에 보고했고, 교육청은 취재가 시작되기 전까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초등교사노조는 사망한 교사들에 대한 진상 규명을 요청하며 “유가족 측의 전언은 학교장의 은폐로 두 죽음을 모두 단순 추락사로 처리하였다는 것이다. 서울 서이초 교사 사망, 기간제 교사 사망에 이어 세상에 드러난 젊은 교사들의 사망 소식에 초등교사들은 집단 우울과 깊은 상처, 트라우마에 더 깊이 빠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속 교사의 죽음을 감추는 것 외에 학교장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군대 간 교사에게까지 전화해 학부모 민원 응대를 지시하며 자신의 지위를 지켜냈다”고 비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도 이날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사망한 의정부 교사들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청했다.
연합회는 “유가족이 얼마나 억울했으면 결코 떠올리고 싶지 않은 기억을 2년이 지난 지금 다시 꺼내놓았겠나”라며 “지금이라도 철저히 진상을 규명해 고인과 유가족의 억울함을 풀고 책임 있는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