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물보호소가 반려동물 복지지원 시설에 새 둥지를 튼다. 소음과 악취 등 주민 민원이 이어지는 데 따른 것이다.
광주시는 “새로 문을 여는 반려동물 복지지원 시설로 광주 동물보호소를 옮긴다”고 8일 밝혔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전날 오후 건국동 행복복지센터에서 가진 간담회를 통해 집단 민원을 청취한 후속 조치다.
동물보호소 인근 건국동 주민들은 10여 년 전부터 유기견 등의 집단 사육에 따른 불편을 호소하며 이전을 지속해서 촉구해왔다.
건국동 주민자치회장과 통장단 회장 등은 간담회에서 소음·악취 등 해결책 마련, 동물보호소 이전 약속, 종합건설본부 쓰레기 야적장 이전 등을 요구했다.
강 시장은 이에 대해 광역동물보호센터 건립과 반려동물 복지지원시설 조성 계획을 설명했다. 이어 광역동물보호센터 건립 시 방음·환기 시설과 방음벽 등을 설치해 주민 불편을 최소한으로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강 시장은 또 “현재 진행 중인 용역 결과를 토대로 반려동물 복지지원 시설을 조성한 뒤 동물보호소를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연말까지 공공 동물장묘시설, 반려동물 놀이터, 유기동물 보호·입양센터 등 복지지원 시설을 만들기 위한 용역을 거쳐 내년 3월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하지만 지역 지자체가 이 같은 반려동물 복지지원 시설 건립을 원만히 추진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주민들이 파양되거나 버려진 애완견 등 반려동물 관련 시설을 혐오시설로 인식해 유치를 강력히 반대해 동물복지 실현에 정책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남구에서 착수한 유기동물 입양센터 건립 사업은 사업 부지 선정과정에서 주민 반대에 부딪혀 사업을 중도 포기했다. 광산구 역시 반려동물 놀이터를 개장하려고 했으나 여러 민원 제기로 무산된 바 있다.
시는 공공 동물장묘시설 건립을 적극 고려하고 있으나 실현될 때까지는 숱한 난관이 예상된다. 시는 ‘반려동물복지지원시설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주민피해를 막고 지역과 상생하는 방안을 찾겠다는 방침이다.
용역 과제는 반려동물복지지원시설 조성을 위한 사례조사·로드맵 작성, 조성 여건 분석·기본구상, 조성사업 입지 환경분석·우선순위 선정, 타당성 조사 분석·기본계획 수립, 정부 공모사업 신청·반려동물 관련 정책 방향 제시 등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과 반려동물이 어울려 사는 동물 친화도시 광주공동체를 만들 것”이라며 “연말 용역 결과가 제시되면 동물보호소 이전 일정이 구체적으로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