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문제만 터지면 전 정부 탓…절망적일 만큼 한심”

입력 2023-08-07 17:37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018년 4월 23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자원봉사자 해단식'에서 치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7일 정부여당이 세계스카우트잼버리의 부실 진행 논란과 관련해 문재인 전 정부 책임론을 제기하자 “절망적일 만큼 한심하다”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문제만 터지면 전임 정부 탓으로 돌리는 정부여당도 이번만은 그러지 못하리라 짐작했으나, 내 짐작은 빗나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과거 평창동계올림픽을 준비했던 일화를 언급하며 “평창올림픽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9개월, 내각 구성 후 8개월 만에 열렸다. 우리는 전임 정부를 탓할 시간도 없었고, 탓하지도 않았다”고 적었다.

이어 “혹한 속에서 성공한 평창동계올림픽을 떠올린다”며 “대통령은 북한의 군사도발을 멎게 하고, 북한 선수단 참가를 유도해, 올림픽을 평화롭게 여는 일에 몰두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평창에서 벌어질 모든 일은 내각의 몫이라고 나는 생각했다. 특히 혹한 대처, 개막식 성공, 조류인플루엔자(AI) 종식에 집중했다”고 덧붙였다.

이 전 대표는 “문재인정부 출범 직전의 겨울 한 철에 3000만 마리 이상의 닭과 오리를 살처분했던 AI를 우리는 빠르게 잡았다”며 “평창올림픽 이후 일정 기간을 거쳐 살처분 제로를 2년 8개월 동안 유지했다”고 했다.

아울러 “혹한이 가장 큰 걱정이었다”며 “경기장에 방풍막을, 객석 곳곳에 히터를 설치하고, 자리마다 담요와 방석을 제공해 추위를 이겨냈다. 개막식 밤은 영하 8도였다”고 회상했다.

이 전 대표는 “이번에는 시간도 넉넉했다”며 “혹한 속의 평창동계올림픽, 폭염 속의 2022년 카타르 월드컵만 연구했어도 국가 망신은 피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