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덕 할머니 등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위한 시민모금 4억원 달해

입력 2023-08-07 11:19 수정 2023-08-07 14:58

광주가 중심이 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시민모금의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4억원 넘는 성금을 모은 시민단체들은 오는 12일 범국민대회에서 생존 피해자에게 1억원씩을 우선 지급하기로 했다.

정부의 제3자 변제안을 거부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를 돕기 위해 결성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평화행동)’은 지난달 3일 시민모금 계좌를 개설한 이후 전국 각지에서 성금이 답지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당초 10억원을 목표액으로 설정한 평화행동은 현재 5775건에 4억784만여원을 모금한 것으로 집계했다. 지난 6월 29일 첫 모금운동 선포 기자회견을 가진지 39일 만에 4억원을 돌파했다.

서울에 사는 한 여성이 익명으로 1000만원을 기부한 데 이어 광주지역 60대 여성 12명으로 구성된 ‘현산독서회’가 40만원을 십시일반 모아 기부했다.

통일운동단체 ‘겨레하나’는 전국 1000여명의 회원이 1만원씩 참여하기로 결의하고 48개 단체 653명이 우선 입금한 600만원을 맡겨왔다.

지난달 초 출범한 평화행동에는 피해자들과 줄곧 같이해온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을 비롯한 60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 중이다.

평화행동은 광복절을 앞두고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와 이춘식 할아버지에게 1억원씩의 지원금을 먼저 전달할 계획이다.

오는 12일 오후 서울에서 열리는 ‘주권훼손 굴욕외교 저지! 한반도 평화실현! 8·15 범국민대회’에서 1차로 피해자들에게 지급한다.

평화행동은 1차 성금 모금에 이어 내부 논의를 거쳐 2차 모금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양 할머니와 이 할아버지는 정부가 지난달 초 ‘제3차 변제’를 통한 한일 강제징용 문제 해결 차원에서 피해자에 대한 공탁금을 법원에 접수하자 이를 “허용하지 않겠다”며 거부했다.

양 할머니는 “굶어 죽더라도 당사자인 일본 기업 미쓰비시가 사과하고 직접 지급하는 배상금이 아니면 절대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후 평화행동이 양 할머니 등을 위해 시작한 시민 모금은 강정채 전 전남대 총장과 박동기 남녘현대사 연구소장 등이 주도했다.

강 전 총장과 박 소장은 일제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 제3자 변제안의 부당성을 설명하고 주변에 시민 모금을 적극 권유하고 있다.

한일 양국 정부의 일방적 조치로 상처받은 피해자와 국민의 자존심을 회복하는 의미에서 지역사회와 전국 각지에 널리 호소하는 노고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시의원과 구의원 등 지방 정치인은 물론 변호사와 의사, 대학교수 등이 모금에 동참하는 중이다. 노동·농민단체 등도 기꺼이 역사 바로세우기에 함께 하고 있다.

평화행동 측은 민족정기를 바로 잡고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모금 운동에 더 많은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모금 실무를 담당하는 박 소장은 “독립운동 등 현대사 연구자로서 모금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정부의 저자세 외교에 실망해 십시일반 정성을 모아주는 시민들에게 감사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