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센 전문가’ 김미혜 교수, 노르웨이 왕실 공로 훈장 수훈

입력 2023-08-03 19:00

원로 연극학자 김미혜(75·사진) 한양대 명예교수가 한국 문화예술계에서는 처음으로 노르웨이 왕실 공로 훈장을 받았다. 김 교수는 3일 서울 용산구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에서 열린 수훈식에서 극작가 헨리크 입센(1828~1906)의 모든 희곡을 번역하는 등 입센을 한국에 알린 공로로 노르웨이 하랄 5세 국왕이 수여하는 훈장과 휘장을 받았다. 노르웨이 왕실 공로 훈장(The Royal Norwegian Order of Merit)은 1985년 제정된 이후 ‘노르웨이와 인류에게 기여한 탁월한 공로’로 해외에 거주하는 개인에게 수여되고 있다.

고려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빈대학교에서 연극학 박사학위를 받은 김 교수는 그동안 학자로서 연극 관련 전문 서적을 수십 권 출판했으며 수많은 희곡을 번역했다. 특히 ‘근대 연극의 아버지’로 불리는 입센의 희곡 23개를 15년에 걸쳐 번역, 지난해 전집을 출판한 바 있다. 또 김 명예교수가 2011년 출판한 한국 첫 입센 연구서 ‘모던 연극의 초석 헨리크 입센’은 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김 교수가 입센 희곡 전집 번역에 나선 것은 한국연극학회장이었던 2006년 입센 서거 100주기를 맞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국제 학술세미나에 참석했던 것이 계기가 됐다. 입센은 세계 연극계에 거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지만 국내에서 제대로 번역되거나 공연되지 않았다. 입센 100주기 학술세미나 이후 김 교수는 영어와 독일어로 쓰인 입센 자료를 모으는 한편 노르웨이어 공부를 시작했다. 또 학술 지원 또는 사비로 노르웨이를 4차례 다녀오는 등 노르웨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도 공부했다. 이런 노력 끝에 나온 김 교수의 입센 연구서와 희곡들은 국내 연극계에서 입센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안네 카리 한센 오빈 주한노르웨이 대사는 “김 교수의 입센 작품 번역이 한국 연극계와 문학계에 깊은 족적을 남기는 한편 노르웨이-한국의 문화적 유대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