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는 3일 “이명박정부 홍보수석 재직 당시 국가정보원에 (언론 장악) 문건 작성을 지시한 적도, 보고받은 적도, 본 적도 없다”고 밝혔다.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2일 MBC라디오에서 이 후보자가 국정원을 동원해 언론 장악을 시도한 정황이 담긴 문건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이같이 반박한 것이다.
이 후보자는 이날 입장문에서 “박 전 원장의 발언은 고위 공직을 두루 거친 책임 있는 정치인으로서 해서는 안 될 무책임한 카더라식 발언일 뿐”이라며 “박 전 원장은 무책임한 폭로 뒤에 숨지 말고 당당히 물증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이 후보자는 이어 “박 전 원장이 봤다고 주장하는 문건 작성을 직접 지시했거나 실행했다는 증거가 드러났다면 약 1000여명의 관계자가 수사를 받고 200여명이 구속된 문재인 정권하의 적폐청산 수사 과정에서 제가 무사할 수 있었겠냐”고 반문했다.
또 “문재인 정권 당시 검찰 수사를 받았던 방송사 간부들로부터 ‘이동관이 시켰다는 진술을 하나만 하라’는 압박을 받았다는 얘기를 직접 듣기도 했다”며 “심지어 홍보수석 재직 당시 김재철 MBC 사장을 청와대 인근에서 93차례나 만났다는 MBC노조의 일방적이고 허무맹랑한 주장을 검찰이 검증도 없이 고스란히 법원 제출 자료에 싣기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치인과 언론인에 대한 무차별 사찰과 도청이 이뤄졌던 DJ 정권 핵심인 박 전 원장의 눈에는 모든 사안이 공작이자 음모로 보이는 모양”이라며 “박 전 원장이 조선시대에 태어나셨더라면 5대에 걸쳐 영화를 누린 유지광을 뛰어넘는 인물이 되지 않았을까”라고 꼬집었다.
이 후보자는 “야권과 일부 언론이 저를 흠집내기 위해 무책임한 의혹을 증폭시키다 못해 이제는 이런 치졸한 공작을 하는 데 대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면서 “오로지 윤석열정부의 성공과 공정한 미디어 생태계 복원이 저의 과업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