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는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가 4년 연속 우수 특구로 지정됐다고 2일 밝혔다. 전국 29개 특구 중 유일하다.
시는 경북도와 함께 지난 2019년 영일만일반산업단지와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일원을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신청해 지정받았다.
특구 지정 이후 현재까지 약 2조원의 기업 투자가 이뤄졌고 2027년까지 12조원의 투자가 확정돼 있다.
시는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GS건설 등 선도기업을 비롯해 솔루엠, 미래세라텍, 해동엔지니어링 등 중소기업의 투자유치도 함께 이끌어내면서 소재에서 부품까지 생산하는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블루밸리국가산단은 1단계 부지가 모두 분양됐고 2000명에 이르는 신규고용을 창출하면서 철강경기 악화 등으로 침체됐던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와 함께 특구 실증을 기반으로 환경부, 산업부의 사용 후 배터리 성능평가, 등급분류, 매각 및 재사용·재활용 기준 등 관련 법령 10건을 정비해 사용 후 배터리산업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시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추가 실증과 사업화 지원을 위한 거점 공간인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를 2021년부터 구축, 운영하고 있다.
또 배터리특구의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환경부, 산업부 등 정부의 정책사업을 다수 유치해 이차전지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다.
시는 8일 기존 배터리특구 종료를 앞두고 그 연장선으로 준비 중인 배터리 글로벌 혁신특구에 도전해 지역에서 글로벌기업이 탄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연계해 글로벌 혁신특구, 기회발전특구, 기업 혁신파크 등 투자유치 인프라를 구축해 이차전지 메가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