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희귀 여름 철새인 호반새가 울주군 상북면 한 계곡에 서식하는 것이 포착됐다고 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일 울주군 상북면 한 계곡 흙 벼랑 구멍 속에 둥지를 틀고 먹이를 나르는 호반새 어미새 모습이 윤기득 사진작가의 카메라에 관찰·기록됐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울산지회 소속인 윤 작가는 사진촬영 중 우연히 오전 먹이활동을 하는 호반새를 발견했다. 오후에는 새끼들이 모두 이소(새의 새끼가 자라 둥지를 떠나는 일) 하는 장면도 목격했다.
호반새는 드물게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개체 수가 적어 울음소리는 들리지만 관찰은 매우 힘든 새로 알려지고 있다.
형광색 느낌의 진한 주황색의 굵고 긴 부리와 몸 전체가 불타는 모습을 하고 있어 ‘불새’로 불리기도 한다.
물총새과 호반새는 호수나 물가 계곡에 살아가는 새로 ‘물고기 사냥의 달인’으로 불리며, 잡은 물고기와 개구리, 뱀, 도마뱀 등은 나뭇가지에 부딪혀서 기절시킨 뒤 머리부터 먹는다.
호반새 둥지는 보통 산간 계곡 주변 무성한 숲속 딱따구리 옛 둥지나 흙 벼랑 동굴이나 구멍을 파서 사용한다.
해마다 사용했던 둥지를 수리해서 사용하는데 청설모나 담비 등 천적 공격을 받게 되면 번식을 포기하거나 다음 해에는 그 둥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가장 늦은 시점에 번식하는 여름 철새로 6월 중순부터 7월까지 5개 정도 알을 낳고 가을이면 동남아로 떠난다.
윤 작가는 울산을 찾아온 귀한 새들을 시민들뿐 아니라 전 국민에게 울산의 우수한 자연생태를 알리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작품을 시에 무상 제공했다.
조류전문가들은 “호반새는 지역의 생태환경 건강성을 알리는 환경지표종으로, 울산이 생태적으로 그만큼 건강하다는 증거”라며 “관심을 갖고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