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30일 더불어민주당의 김성태 전 쌍방울 그룹 회장 ‘봐주기 수사’ 주장에 대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를 압박하다가 안 될 거 같으니, 이제는 김성태씨 압박으로 타깃 변경이냐”고 비판했다.
한 장관은 이날 낸 입장문에서 “자기 당 대표의 범죄 수사를 막기 위한 사법 방해에 다수당의 정치권력을 총동원해 집요하게 ‘올인’하는 것은 정치 영역이 아니라 증거인멸이나 위증교사 같은 범죄의 영역에 가깝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당시) 도지사의 방북을 위해 깡패를 시켜 북한에 뒷돈을 갖다 바치는 것’은 ‘민주당과 무관한 개인 비리’”라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는 이날 낸 입장문에서 “검찰이 김 전 회장의 주가조작 혐의에 대해서도 봐주기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검찰이 김 전 회장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등의 금지 위반 혐의로 기소했는데, 주가조작 등 시세조종 혐의에 대해선 기소하지 않고 봐주기 수사를 해준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대책위는 “검찰이 왜 주가조작 의혹을 축소하려 하는지 의심 가는 이유가 있다”며 “쌍방울 주가조작 의혹이 제대로 파헤쳐질수록 이재명 대표가 쌍방울 사건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대책위는 또 검찰의 주가조작 봐주기 기소가 수상한 이유는 쌍방울 그룹의 전·현직 사외이사가 ‘친(親)윤석열’ 인사로 구성됐기 때문이라며 김 전 회장의 주가조작 혐의에 대한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