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정부는 이번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수해 농가에 대한 지원금을 인상키로 했다.
국민의힘은 또 수해 피해 가구에 대한 재난지원금 규모를 대폭 늘리는 방안을 요청했고, 정부는 이를 적극 검토키로 했다.
당정은 또 특별재난지역을 추가로 선포하는 데도 뜻을 같이했다.
당정은 28일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고위당정협의회를 열고 이 같이 결정했다고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는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윤재옥 원내대표, 한덕수 국무총리·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당정은 이번 집중 호우에서 농업 분야 피해가 특히 심각했다고 보고 피해를 입은 농업인에 대한 지원 및 농축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구체적인 분야별 지원 액수 등은 다음 주 중앙재해대책본부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역 농가별 피해 규모를 조사해 8월 이후 지원금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당정은 또 이번 수해로 수급 불안이 우려되는 닭고기·상추·배추·무 등의 가격 안정을 위해 육계 종란 수입 및 배추·무 비축물량 방출 등 공급을 늘리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할인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재난지원금과 관련해 “당은 이번 수혜로 이재민들이 주택, 농작물 등 주거, 생계 수단을 상실한 점을 고려해 종전과는 달리 기존 재난지원금 대비 대폭 증액된 실질적 지원을 요청했고, 정부는 이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이어 “이재민의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재난지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실시하되 우선 주택, 소상공인, 인명피해 등에 대한 지원을 최우선적으로 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특별재난지역도 추가로 선포될 전망이다.
유 수석대변인은 “지난 7월 19일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선포된 13개 지역에 대해선 재난복구 비용을 신속 지원하고 나머지 피해지역에 대해서도 중앙합동조사를 마치는대로 추가 선포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당정은 또 가칭 ‘기후위기 대응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재난 대응 시스템 전반의 개편 방안을 8월 중 마련하기로 했다고 유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