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성장률 또 내렸다…주요국은 상향·韓은 역행?

입력 2023-07-25 22:21 수정 2023-07-25 23:57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또 낮췄다. 반면 미국과 일본, 영국 등 주요 선진국들의 성장률 전망치는 상향됐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발표한 ‘수정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전망치 1.5%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IMF가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건 지난해 7월·10월에 이어 올해 1월·4월·7월까지 5차례 연속이다.

IMF의 이번 수정 전망치는 현재 정부·한국은행의 공식 전망치(1.4%)와는 같고, 한국개발연구원(KDI)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1.5%)보다는 낮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전망치보다는(1.3%) 높은 전망치다.

반면 IMF는 올해 세계 경쟁률 전망치는 3.0%로 지난 4월 전망치(2.8%)보다 0.2%포인트 높여 잡았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1.6%→1.8%)과 영국(-0.3%→0.4%), 일본(1.3%→1.4%) 등도 기존보다 전망치가 높아졌다.

미국 부채한도 협상 타결과 실리콘밸리 은행·크레디트스위스 사태 진정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완화하고, 코로나19 종식으로 관광 등 서비스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회복세가 강해지고 있다고 본 것이다.

이탈리아(0.7%→1.1%)와 스페인(1.5%→2.5%)도 관광업 수요 회복세의 영향으로 전망치가 올라갔다.

IMF는 다만 현재 세계 경제가 단기적으로 회복하는 가운데 여전히 위험 요인이 많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물가 상승률은 둔화하고 있지만, 근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아 긴축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금융시장 위험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와 중장기적 재정 건전성 확보, 노동시장 유연화, 탄소 중립 실현 등도 강조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