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지역대학 지원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무추진단을 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생존의 위기에 처한 지역대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학 협력사업 관련 부서 팀장급 26명으로 구성된 실무추진단은 부서별로 추진 중인 대학 협력사업 개선방안과 중앙부처 공모사업에 대한 대학의 행·재정적 지원방안 등을 담당한다.
오는 10월 ‘글로컬대학 30’ 지정에 앞서 15개 예비 지정대학으로 선정된 전남대의 실행계획서 작성도 총력 지원한다. 추진단은 사업 성격에 따라 분야별로 대학 관계자와 수시로 회의를 진행하고, 필요에 따라 전체 팀장급이 모여 안건을 논의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대학 협력사업으로 22개 부서에서 ‘산학연 협력 선도 육성사업(LINC 3.0)’,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RIS)’, ‘대학 연구·개발(R&D) 과제 발굴 기획’ 등 총 54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월 지역대학 총장과 관련 기관이 참여한 ‘대학·지역 균형 인재 육성 지원협의회’를 구성한 바 있다. 최근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문화경제부시장 직속으로 교육정책관을 신설하고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준비단’을 발족했다.
김동현 교육정책관은 “지자체가 주도하게 될 대학교육 강화에 따라 지자체와 대학 간 긴밀한 협조가 필수가 됐다”며 “업무 담당 팀장들과 대학 관계자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지역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 발전하는 공통분모를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