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피해액을 전액 특별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정부 지원과는 별개이며 지원액의 절반은 즉시 지급한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24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액 전액을 지원한다는 원칙 아래 50%는 농협을 통해 즉시 지급하고, 나머지는 정산 후 추가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주택은 정부 지원에 추가 자금을 더해 실제 피해액 전액을 지급한다. TV와 냉장고, 세탁기 등 침수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 전자제품과 가재도구도 지원한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따른 정부의 주거 피해 지원금은 전파 3600만원, 반파 1800만원, 침수 300만원 등이다.
영농시설의 경우 실제 피해액의 80~90%를 지원하고 건조기 등 농기계와 토양 개량까지 지원키로 했다. 현행 제도 상 정부의 영농시설 피해 복구 지원 규모는 피해액의 35% 안팎이고 재해보험금은 농작물 피해의 20%대에 불과한 실정이다.
농작물 피해는 재해보험 가입자일 경우 보험금 수령액을 뺀 나머지 전액을 지원한다. 보험 미가입자는 지원액을 차등해 지원한다. 가축 피해는 상황을 살펴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집중호우로 충남은 공공시설 피해 1113건, 사유시설 피해 1014건, 농작물 침수 2954.1㏊, 농경지 유실 54.2㏊ 등 총 1873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응급 복구는 879건 중 786건(89.4%)을 완료했다.
대피했던 2088세대 3194명 가운데 1896세대 2839명은 귀가했으며 미귀가자는 주거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다.
도는 앞으로 민간 장비와 군 병력 등을 동원해 피해조사와 복구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김 지사는 “항구적인 복구 및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하겠다”며 “댐 긴급 방류 시 사전 협의를 위한 기구 마련, 금강 지천 정비, 금강 본류·지천, 하구언 배수갑문 추가 설치 및 정비 등을 정부에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지사는 최근 충남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것에 대해 “전국 21개 지자체가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3개 첨단산업에서 각축전을 벌여 총 7개 특화단지를 지정했는데, 디스플레이는 충남이 유일하게 지정됐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도지사 당선인 시절부터 대통령, 부총리, 당 등에 강하게 요청해 지난해 11월 디스플레이산업이 국가첨단전략산업에 포함됐다”며 “탕정 디스플레이시티 등 천안·아산 10개 산단을 연계한 축구장 2000개 규모(1412만㎡) 부지에 특화단지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