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3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에 ‘가상자산을 보유한 적 있다’고 자진신고한 것과 관련해 “탁상행정을 하지 않기 위해 직접 경험해보는 것은 문제 해결에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지난해 1월 8일 정확히 100만원을 문제가 많다고 하는 잡코인 5개에 약 20만원씩 나눠서 구매했다”며 “올해 5월 5일 확인해보니 코인 5개 중 2개는 상장폐지됐고 잔금은 14만원으로 -85%의 손실률이 제 계좌에 남은 최종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전 의원은 “지난 몇 년간 청년들의 가상자산 투자와 그들의 피해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였지만 이런 심각한 문제에 정부와 국회는 무관심하거나 탁상공론에 머무르는 수준이었다”며 “저는 청년 국회의원으로서 이런 가상자산 관련 현장의 문제와 산업적 구조, 피해 상황 등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해야만 했다”고 말했다.
그는 “직접 코인투자를 해보며 브레이크와 안전장치 없는 24시간 등락, 정보 확인도 안 되는 상태에서 온갖 루머에 폭등과 폭락을 거듭하는 상황을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며 “주식과 달리 투자자를 보호할 법적·제도적 체계가 없다는 점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보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인 발행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깜깜이 상장과 아무런 감시 없는 방치, 상장폐지와 소위 먹튀(러그풀)의 심각성은 투자해보지 않았더라면 알 수 없었을 것”이라며 “그때의 경험과 고민, 학습이 없었다면 여러 가상자산 관련 기구에서 그 위험성과 청년들의 현실에 대한 목소리를 내지 못했으리라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일각에서는 가상자산 거래 자체를 부정한 행위인 것처럼 언급하지만 지금 중요한 것은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법적, 제도적 정비와 피해자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라며 “또한 가상자산 시장에서 청년 투자자들이 열악한 정보와 부실한 감시, 법적 보호장치의 부재 탓에 더 이상의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