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는 상습 정체도로인 자유로와 통일로 등의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자유로~강변북로 지하도로 건설을 구체화하고 통일로 확장, 고일로 연장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통일로, 자유로 등 주요 간선도로의 고질적인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고양시 주요도로망 개선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해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이번 용역은 민선 8기 10대 핵심과제인 ‘자유로~강변북로 지하도로 건설’ 방안 검토를 포함한다. 자유로는 하루 교통량이 20만대 이상으로 전국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도로 중 하나다.
현재 8차로(일부구간 10차로)까지 확장했지만 수평적 확장에 한계가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시는 자유로~강변북로 구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자유로 지하고속도로 건설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달 20일 개최된 자유로 지하화 프로젝트 정책 토론회에서는 2월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한 ‘고양~양재 지하고속도로’와 서울시 ‘강변북로 재구조화 방안’ 등을 연계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사업화와 재원 조달 방안 등에 대한 각계각층의 의견도 수렴했다. 시는 경제성 분석 등을 완료하고 2차 정책 토론회를 거쳐 올해 중 자유로 지하화 프로젝트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주요간선도로 정체현상 개선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수립 중인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6~2030)’에 주요도로망 개선안도 반영·요청했다. 주요 건의사항은 국도1호선 통일로 관산~내유 구간 4차로→6차로 확장, 국도39호선 대체우회도로 미개설 구간인 관산~벽제 구간 개설이다. 통일로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통일로 지정국도(국가가 관리하는 일반국도) 지정도 요구했다.
이 외에도 타당성용역을 통해 고일로 연장 방안, 주교~장항 연결로 등 고양시 주요도로망 개선 방안을 고르게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전문가와 시민 대상으로 의견 수렴 후 용역을 올해 안에 마무리하고 타당성조사 의뢰, 투자심사, 중기지방재정계획 등 절차를 밟아 사업 추진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향후 인구 130만명을 바라보는 고양특례시의 교통수요를 반영한 주요간선망 종합개선방안을 마련해 도심으로 이어지는 대동맥을 넓히겠다”며 “공영주차장을 확충하고 주차공유제 등을 확대해 신규택지개발지구를 비롯한 시 곳곳에 주차공간도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