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프티’브라이언 하먼(미국)이 생애 첫 메이저대회 우승에 청신호를 켰다.
하먼은 23일(한국시간) 영국 잉글랜드 위럴의 로열 리버풀GC(파71)에서 열린 남자 골프 시즌 마지막 메이저대회 디오픈(총상금 1650만 달러) 사흘째 3라운드에서 2언더파 69타를 쳤다.
중간합계 12언더파 201타를 기록한 하먼은 이날 5타를 줄이며 추격전을 펼친 캐머런 영(미국)에 5타 앞선 채 선두를 굳건히 지켰다.
이로써 하먼은 생애 첫 메이저 대회 우승에 한발 바짝 다가섰다.
투어 12년차인 하먼은 그동안 335차례 PGA투어 대회에 출전해 2승을 거두고 있다. 그 중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은 2017년 US오픈 2위다.
하먼의 생애 첫 메이저 대회 우승 가능성은 현재로선 높다. 메이저대회에서 지금까지 5타 이상을 앞선 채 최종 라운드에 나섰다가 역전패한 사례는 딱 두 차례 뿐이기 때문이다.
불명예의 주인공은 그렉 노먼(호주)과 장 반 데 발데(프랑스)다. 노먼은 1996년 마스터스에서 6타차 역전패, 발데는 1999년 디오픈에서 5타차 선두를 지키지 못해 역전패 당했다.
하먼은 “평생 메이저대회 우승을 꿈꿨다. 메이저대회 우승을 위해 열심히 연습했고 희생했다”면서 “내일은 모든 것을 쏟아붓겠다. 결단하고 집중하겠다”고 비장한 각오를 밝혔다.
하먼이 우승하면 왼손잡이 선수로는 1963년 밥 찰스(뉴질랜드), 2013년 필 미켈슨(미국)에 이어 세 번째 디오픈을 제패한다.
작년 PGA투어 신인왕 영은 보기는 1개로 줄이고 버디 6개를 솎아내 5타를 줄여 단독 2위(중간합계 7언더파 206타)로 올라섰다.
지난해 디오픈에서 2위를 차지했던 영은 “내일은 무조건 공격적인 플레이를 하겠다”면서 “초반에 경기 상황을 보고 새로운 시도를 해볼 수도 있다”는 전략을 밝혔다.
3라운드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선수는 욘 람(스페인)이었다. 람은 이날 보기 없이 버디만 8개를 쓸어 담아 8타를 줄여 ‘무빙데이’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로열 리버풀GC의 코스 레코드 신기록인 8언더파63타를 몰아친 람은 6타차 3위(중간합계 6언더파 207타)로 순위를 끌어 올렸다.
첫날 3오버로 부진하면서 중계진 카메라맨에게 짜증을 내는 등 경기 내내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던 람은 2라운드에서 1타를 줄이며 심리적 안정을 되찾았다. 3라운드에서는 모든 샷이 완벽해서인지 예민한 반응은 전혀 없었다.
람은 “버디를 잡을 때마다 버디 하나만 더 잡자는 생각을 했다”면서 “감이 아주 좋다. 하지만 내일 우승하기 위해서는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우승을 향한 의지를 내보였다.
3라운드에서 람과 동반 경기를 펼친 김주형(20·나이키)은 다리 염좌에도 3언더파 68타를 쳐 공동 11위(중간합계 3언더파 210타)까지 순위를 끌어 올려 메이저대회 연속 ‘톱10’ 입상 가능성을 밝혔다. 김주형은 직전 메이저대회 US오픈에서 공동 8위에 입상했다.
2라운드에서 부진했던 임성재(25)도 이날 4언더파 67타를 쳐 공동 17위(중간합계 2언더파 211타)로 순위가 22계단 상승했다. 안병훈(32·이상 CJ) 역시 1언더파 70타를 쳐 공동 24위(1언더파 212타)로 올라섰다.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는 홈 팬들의 열광적인 응원에도 2타 밖에 줄이지 못해 김주형 등과 함께 11위에 자리했다. 전날 4오버파로 부진했던 세계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미국)는 이날도 1타를 잃어 공동 63위(중간합계 4오버파 217타)로 밀렸다.
정대균 골프선임기자 golf56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