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올해 초 월동 꿀벌이 무더기로 폐사하는 피해를 입었던 도내 양봉농가 꿀벌사육이 평시 사육의 평균 90%까지 회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도가 지난달 28일부터 2일까지 도내 양봉 표본 농가 125가구를 대상으로 자체 번식 및 구입 상황 등 2차 꿀벌사육 6월 동향을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1차 조사에 이어 시군에서 현장 방문과 전화조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표본 농가 는 평시에 2만5493군을 사육했고 월동 꿀벌 피해조사 당시 1만106군이었으나 자체 증식과 종봉구입으로 6월말 기준 2만3126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꿀벌은 올해 초 월동 꿀벌 피해 이후 평시 사육 군수의 평균 90%까지 회복됐고 석 달여 만에 평시 사육 수준에 근접했다.
꿀벌 사육조사 피해 구간별로 회복률이 적게는 66%, 많게는 132%를 보이고 있으며 피해가 적은 농가로부터 회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꿀벌(종봉)구입가격은 하향 안정세로 돌아서 군당 평균 23만원이며 농가별로 구입 시기와 벌 상태에 따라 20만원에서 28만원으로 조사됐다.
도는 지난 2월 양봉농가 간담회 때 건의된 현장 목소리를 도정에 적극반영해 양봉 시책을 3월부터 추진, 꿀벌 사육기반 회복을 위한 종봉 구입비 예산을 예비비로 확보하고 100억원 규모의 사업비로 농가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꿀벌 사육기반 안정화를 위해 양봉농가의 노력과 추진한 시책 등에 힘입어 평시 꿀벌 사육군수의 회복 목표 83%를 상회한 90%까지 회복했으나 겨울나기 전, 여름부터 가을까지 꿀벌 사양 및 방제를 통해 강한 꿀벌을 만들어 대비해 나갈 계획이다.
손영재 경남도 축산과장은 “양봉농가의 강군 꿀벌 사양과 적기 양봉 시책이 더해져 도내꿀벌사육 회복이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꿀벌 사양 및 진드기 방제 등 중요한 시기로 양봉농가와 행정에서 더욱 노력이 필요 하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