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산하 공공기관의 장애인고용률을 현재 3.9%에서 김동연 지사 임기 내인 2026년까지 5%로 확대하고 통합공채 시기를 3월과 9월로 정례화한다. 아이 키우기 좋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육아휴직자를 별도 정원으로 관리하는 인사 제도도 도입한다.
경기도는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민선8기 경기도 공공기관 운영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은 더 고른 기회, 더 좋은 변화, 더 많은 자율과 책임, 더 커다란 혁신과 도전이라는 4대 추진 방향 아래 13개 과제 달성을 위해 진행된다.
더 고른 기회를 목표로 김동연 지사 임기 내 장애인고용률을 5%(2026년 법정 의무 고용률 3.8%)까지,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은 현재 33.4%에서 35%까지 확대한다.
공공기관 통합채용 시기도 3월과 9월로 정례화해 취업 준비생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 장애인고용률 확대를 위해 장애인 채용 시 직무기초능력평가(NCS)를 면제하고 인성 검사와 면접전형 등을 통해 선발하는 등 진입장벽을 없애고 재택근무 등 적합 직무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더 좋은 변화를 통해 아이 키우기 좋은 직장을 목표로 6개월 이상 육아휴직자 등에 대해서는 별도 정원제 시행과 함께 일시적으로 정원을 넘는 데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또 모성보호휴가, 부모휴가 등 가족 친화적 복무제도를 적극 확대해 ‘아이 키우기 좋은 직장’으로 만들고, 시차 출퇴근·주4일 집약 근무·재택근무 등 다양성을 존중하는 직장문화를 조성한다.
더 많은 자율과 책임은 청렴 가치를 확산하고 탄력적 조직 운영과 책임 경영 확대를 목표로 일반직·공무직 정원 통합관리제를 시행한다. 아울러 자체 감사 기능과 내부 관리역량을 강화를 통해 청렴 가치를 확산시키고 부채 중점관리제도도 도입한다.
더 커다란 혁신과 도전은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유도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환경·사회·투명(ESG) 경영을 강화하고, 민선 8기 임기 내 RE100 달성을 추진해 사회적 책임과 역할도 강화할 계획이다.
도는 공공기관과 유기적 협업체계를 공고히 구축해 도정의 제1파트너로서 도민을 위한 혁신과 도전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앞서 김동연 지사는 18일 28개 공공기관장과 간담회를 갖고 기본계획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소통한 바 있다.
박노극 도 정책기획관은 “도와 공공기관이 함께 혁신하고 도약하고자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