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위스키 수입이 50% 넘게 급증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반면 와인 수입은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이후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맥주 수입은 4년 만에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1만6900t으로 관련 통계가 있는 2000년 이후 반기 기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위스키 수입량(1만1200t)보다 50.9%나 급증한 것이다.
위스키 수입량은 지난해 상반기에도 2021년 상반기(6800t) 대비 63.8% 증가한 이래 꾸준히 늘어났다. 올해 상반기 위스키 수입량은 바로 직전의 지난해 하반기 기록(1만5800t)도 뛰어넘었다.
수입액 기준으로도 2021년 상반기 7600만달러, 지난해 상반기 1억2000만달러에 이어 올해 상반기 1억3000만 달러로 늘었다.
위스키 수입 증가 추세는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 사이에서 위스키에 탄산수·토닉워터를 넣어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끈 것이 주요 요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더불어 위스키가 일부 계층을 위한 ‘고급술’이라는 인식에서 점차 벗어나고 대중적으로 소비되면서 수입 규모도 커지는 모습이다.
반면 코로나 시기 홈술(집에서 먹는 술)·혼술(혼자서 먹는 술) 문화로 열풍이 불었던 와인 수입량은 줄고 있다. 올해 상반기 와인 수입량은 3만1300t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0.8% 감소했다.
와인 수입량은 2021년 상반기 4만400t으로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와인 열풍이 한풀 꺾이면서 지난해 상반기 3만5100t으로 줄었고, 올해 상반기에는 3만1300t으로 감소했다.
감소세를 보이던 맥주 수입은 한일 관계 개선에 따라 4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상반기 맥주 수입량은 12만700t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1% 늘었다.
앞서 맥주 수입량은 2019년 상반기 18만8900t에서 2020년 상반기 14만2500t, 2021년 상반기 12만2800t, 지난해 상반기 11만2600t으로 3년 연속 감소한 바 있다. 일본이 2019년 7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등에 대해 한국 수출 규제에 나서고 국내에서는 일본 맥주 불매운동이 진행된 영향이다.
그러나 지난 5월부터 ‘아사히 생맥주캔’ 열풍이 부는 등 일본 맥주 불매운동이 잦아들면서 맥주 수입도 증가하는 모습이다.
김영은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