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핵심 정책인 ‘기회소득’ 중 시행에 들어간 ‘장애인 기회소득’의 경쟁률이 4.9대 1를 기록했다.
경기도는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 신청을 받은 결과, 2000 명 모집에 9817명이 신청해 했다고 18일 밝혔다.
장애인 기회소득은 스스로 건강을 챙기는 ‘정도가 심한 장애인’ 2000명을 선발해 월 5만원씩 6개월간 총 30만원을 지급하는 정책이다. 대상은 만 13~64세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다.
경기도는 장애인 기회소득을 신청한 9817명의 자격조회(소득) 등 적합성 검토를 마치고 이달 중 2000명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장애인 기회소득 참여가 확정된 장애인은 스마트워치를 착용하고 1주 최소 2회 이상, 1시간 이상 활동하고 움직이면서 스스로 건강을 챙겨야 한다.
경기도는 장애인의 활동으로 건강이 좋아진다거나, 더 이상 건강이 나빠지지 않아 의료비, 돌봄비용 등 사회적 비용이 감소하는 것을 사회적 가치로 보고 있다.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누림센터)는 기회소득 지급뿐 아니라 장애인의 자기 주도적 운동 목표 수립과 활동을 돕고 더 나아가 주도적 가치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앞서 도는 5일부터 14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장애인복지법상 ‘정도가 심한 장애인’ 13~64세를 대상으로 장애인 기회소득 신청을 온라인과 읍·면·동을 통해 현장 접수한 바 있다.
김능식 도 복지국장은 “장애인의 자기 주도적 사회활동에 대한 의지와 기회소득에 대한 도민의 관심도가 이번 공모를 통해 확인됐다”며 “장애인 기회소득이 더 많은 사람에게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