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밤부터 14일 새벽까지 이어진 집중호우로 서울에서 2000여세대에 전력 공급이 끊기고 도로가 침수되는 등 각종 피해가 속출했다.
13일 오후 9시45분쯤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도로 축대가 무너져 토사가 유출됐다. 이 사고로 인근 20가구 46명이 심야에 긴급 대피했다.
서울 각지의 반지하 거주민 등도 침수를 우려해 일부 대피했다. 이틀간 집중호우로 서울에서 일시 대피한 인원은 총 38가구 79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27가구 61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대피 중이다.
13일 자정쯤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에서는 가로수가 쓰러지면서 고압선을 끊어 인근 2000세대 이상이 정전 피해를 봤으며 14일 아침까지 복구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도봉구 쌍문동, 금천구 시흥동 등지에서도 낙뢰로 인한 정전이 발생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14일 오전 7시 기준 서울에서 이뤄진 소방 안전활동은 총 7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7건은 단순 배수 지원이며 주요 피해 28건은 시설물 안전조치다. 가로수·가로등 8건, 외벽·펜스 2건, 낙하물·간판 1건, 기타 17건이다.
전날 밤부터 이날 새벽까지 광진구 중곡동, 강동구 암사동, 은평구 불광동, 성북구 성북동 등 4곳에서 주택 등 건물 옹벽이 파손됐다.
암사동의 경우 한 상가 뒤편 담벼락이 무너져 담벼락과 붙어있던 상가 화장실 유리창이 깨졌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관악구 사당역과 동작구 여의대방로는 도로가 침수돼 배수 등 임시 조치를 완료했다. 여의대방로는 추후 하수관을 교체할 계획이다.
노원구에는 14일 오전 4시46분 산사태주의보가 발령됐다가 오전 7시9분 해제됐다. 구는 오전 5시47분쯤 공릉동과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에 산사태주의보를 발령한다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보냈다.
서울 전역에는 전날 오후 9시 호우경보가 발령됐다. 14일 오전 5시 호우주의보로 경보 단계가 하향됐다가 오전 6시 30분쯤 해제됐다.
서울시는 “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고 기상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선예랑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