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맞춤형 인적 안전망 확충…선제적 위기가구 발굴

입력 2023-07-13 11:09

창원시는 위기가구 선제적 발굴을 위해 현장 중심의 맞춤형 인적 안전망을 확충해 사회적 약자를 촘촘하게 찾아 두텁게 지원하고 새로운 복지 수요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복지사각지대발굴 시스템 고도화로 의료비·공공요금 체납 등 위기가구 포착을 위한 정보가 39종에서 44종 확대와 주민등록과 실거주지 불일치 대상자 확인 등을 위해 각 구청별 위기가구 찾기 전담인력을 배치해 정확하고 신속한 위기가구 발굴에 집중할 계획이다.

또 사회적 고립 걱정 없는 촘촘한 연결사회를 위해 시는 1025개 경로당을 ‘안전한 이웃살피미 경로당’으로 지정하고 경로회장, 총무 등 2000여명을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 및 위기가구 발굴 신고자 역할을 부여해 지역 사회보호 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지역 여건에 밝은 경로당 회원들이 이웃의 갑작스런 사고 및 건강·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대상자를 신고하고 홀로 어르신을 경로당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 시키거나 거동 불편 어르신의 안부를 확인해 고독사 예방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고독사의 비중이 늘어가고 있는 중·장년층에 대해서도 시에서는 5개 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협력해 외부활동지지(집밖활동) 사업인 ’5060 행복day’ 사업을 한다.

이는 중·장년층 은둔형 고독사 고위험군 대상자를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우울감을 해소하고 일상생활을 관리해 낚시활동, 취미공방, 나눔활동 등 다양한 외부활동지지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게해 은둔형 고독사 위험 가구를 함께 찾아 나서게 한다.

한편 창원시는 10개 읍·면·동에 간호직 공무원을 배치해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의 질을 한층 높인다는 계획이다.

간호직의 전문성을 활용해 주민들의 건강복지 욕구 조사와 맞춤형 만성질환자 관리와 취약계층 대상자 발굴 및 정기적 방문을 통해 건강 돌봄 서비스를 연계하는 등 보건·복지 협업 강화로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해 주민들의 보건복지 체감도를 높인다.

이와 함께 시는 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소액으로 다수가 참여하는 기부릴레이”를 진행해 복지지원을 넓혀간다.

홍남표 창원시장과 김이근 창원시의회 의장이 기부릴레이에 동참하고 기업 및 시민을 대상으로 기부문화를 확산시켜 모금된 기부금으로 위기가구에 생계비 및 연료비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서호관 창원시 복지여성보건국장은 “복지사각지대 선제적 발굴을 위해 전담 인력이 위기 가구를 찾아가고 맞춤형 인적안전망 확충으로 선제적 위기가구 발굴에 집중해 더욱 강화된 보건복지서비스로 누수 없는 약자복지 지원에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