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보를 담은 ‘후쿠시마 오염수 10가지 괴담’ 자료집을 제작했다. 자료집은 이번주 내 동사무소 민원실, 공공도서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오염수 관련 정부 일일 브리핑에서 “국민이 특히 우려가 많고, 틀린 정보에 노출되기 쉬운 대표적인 10가지 이슈를 모아서 자료집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자료집은 정말 중요한 정보만, 쉬운 말로 풀어서 썼다”며 “국민들이 우리 바다와 수산물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조금이나마 덜어내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주 안에 동사무소 민원실, 공공도서관 등에 자료집을 배포할 계획이다. 정부 공식 누리집(korea.kr)에서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박 차장은 브리핑에서 괴담 중 몇 가지를 직접 설명하고 나섰다.
‘문재인정부는 방류 반대했는데 윤석열정부는 찬성한다?’는 지적에 “우리 정부는 지난 정부와 마찬가지로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방출에 대해 절대 반대한다”고 답했다.
이어 “삼중수소 오염수를 배출 기준에 맞게 희석해 방류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처리방식으로, 원전을 보유한 모든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며 “기준치를 준수한 오염수 배출은 다른 나라가 반대한 전례가 없어 국제적 관행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후쿠시마 바다에 서식하는 우럭이 우리 바다로 헤엄쳐 올 가능성에 대해 “어류는 서식지가 분리돼 있고 수온에 극도로 민감하다”며 “후쿠시마 인근 어류가 우리나라 연안까지 건너올 가능성은 굉장히 희박하다”고 밝혔다.
최근 후쿠시마 인근 항만에서 잡힌 우럭에서 기준치의 180배에 달하는 고농도 세슘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일본이) 다른 방법도 있는데 돈을 아끼려고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한다’는 지적에 정부는 “모든 원전에서는 삼중수소가 발생한다. 원전을 가진 국가들은 삼중수소를 배출 기준에 맞춰 바다에 방류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물론 방류가 매립보다 비용이 적게 들지만, 비용 부분만 부풀려 과장하는 건 정치적 선동”이라고 반박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