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 ‘대규모 해양사고’ 대응 역량 키운다

입력 2023-07-11 14:00
해양경찰청 전경. 해경 제공

해양경찰청은 친환경 선박 전환 가속화 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국제 해사 환경에 맞춰 선박의 화재·폭발, 해양오염 등을 동반한 복합 해양오염 사고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는 국제 해운의 순배출 제로화(Net Zero)를 위해 2050년까지 설정한 온실가스 50% 저감 목표를 100%로 상향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해운사들은 신조선의 약 70%를 친환경 연료 선박으로 발주하고 있다.

해경은 가스 연료를 쓰는 친환경 선박 운항이 증가하고 화학물질의 해상 운송량이 늘어나면 복합 해양오염 사고 위험성도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존의 탄화수소 계열의 유류 오염 사고뿐만 아니라 화재·폭발 등을 동반한 새로운 유형의 재난형 사고 발생할 가능성도 커진다.

이에 울산 등 해양오염 발생 위험 해역에서 24시간 대응 체계로 운영 중인 기동 방제팀의 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고 전문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지난해 해양오염 발생 위험 해역에 기동 방제팀을 신설하여 운영한 결과에서는 오염물질 유출 가능 개소 봉쇄 등 해양오염 사전 유출 방지 건수가 82% 증가했다. 현장 출동 대응 평균 소요 시간은 약 29% 줄어들었다.

해경은 현장 대응 요원이 기름 오염 사고뿐 아니라 복합 해양오염 사고에도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유형의 사고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전문성 강화에 필요한 교육 이수를 지원하는 한편 현장 훈련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다목적 친환경 방제함정도 올해부터 해양오염 위험 해역에 배치한다. 이 함정들은 기존 방제정 대비 선박 소화 성능이 좋고 예인 장비를 갖춰 복합 해양오염에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현진 해양오염방제국장은 “친환경 선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유형의 복합 해양 오염 사고에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방제 전문성을 확보하고 대응력을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