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 공군 전략정찰기가 동해 배타적경제수역(EEZ) 상공을 침범했다고 주장하며 반복될 경우 군사적 대응을 하겠다고 재차 위협하고 나섰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부부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미 공군 전략 정찰기가 북한 경제수역 상공을 무단 침범했다면서 “나는 위임에 따라 우리 군의 대응 행동을 이미 예고했다”며 “반복되는 무단침범 시에는 미군이 매우 위태로운 비행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구체적으로 “지난 10일 미 공군 전략정찰기는 5시15분부터 13시10분까지 강원도 통천 동쪽 435㎞∼경상북도 울진 동남쪽 276㎞ 해상 상공에서 조선 동해 우리 측 경제수역 상공을 8차에 걸쳐 무단침범하면서 공중 정탐 행위를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날 거론한 미군 측 정찰 활동을 다시 언급한 것이지만, 위치와 횟수가 더욱 상세하게 표현됐다. 김 부부장 담화는 전날 오후 9시쯤 한 차례 나온 데 이어 9시간 만에 다시 나왔다.
김 부부장은 또 남측을 ‘대한민국’으로 지칭하면서 “대한민국 군부는 또다시 미군의 도발적 행동과 관련하여 중뿔나게 앞장에 나서 ‘한·미의 정상적인 비행 활동’이라는 뻔뻔스러운 주장을 펴며 우리 주권에 대한 침해 사실을 부인해 나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해당 공역과 관련한 문제는 북한과 미군 사이의 문제라며 “대한민국의 군부깡패들은 주제넘게 놀지 말고 당장 입을 다물어야 한다”고 막말을 쏟아냈다.
우리 군은 전날 입장문에서 “(북한은) 허위사실 주장으로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면서 “미 공중감시정찰자산의 한반도 주변 비행은 통상적인 정찰 활동”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김 부부장은 전날 저녁 담화에서도 미군의 정찰 활동을 비난하면서 “또다시 우리 측 경제수역을 침범할 시에는 분명하고도 단호한 행동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하지만 국제법상 영해가 아닌 EEZ는 통상 무해통항권이 인정되는 공해이기 때문에 북한 측의 주권 침해 주장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북한의 미군 정략정찰기 격추 위협에 대해 미국은 “긴장을 조성하는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에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에 나설 것을 요구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는 외교에 전념하고 있으며 평양과의 대화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재차 강조한다”며 “우리는 여러 차례 전제조건 없는 대화 의사를 분명히 밝혔으나 북한은 불행하게도 이를 거부하고 있다”고 했다.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 발언을 봤다”며 “미국은 언제나처럼 국제법이 허용하는 모든 곳에서 동맹 및 파트너들과 함께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비행하고 항행하며 작전을 수행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싱 부대변인은 북한 영공 등에서 비행한 사실이 없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 “다시 말하지만, 우린 국제법에 따라 항상 책임감 있고 안전하게 작전한다. 따라서 그러한 비난은 비난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