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혜’라더니…양평道 원안 종점엔 野 前군수 땅

입력 2023-07-10 05:45 수정 2023-07-10 09:52
정동균 전 양평군수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진상규명 TF의 긴급 기자회견에 참석한 후 보충설명을 하고 있다. 뉴시스

변경된 노선 종점 인근에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일가의 땅이 있어 ‘사업 백지화’ 논란이 대두된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과 관련해 이 도로 원안 노선 종점 부근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동균 전 양평군수와 친척들의 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다.

9일 대법원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정 전 군수와 친척들은 양평군 옥천면 아신리에 모두 14개 필지 1만여㎡(3000여평)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옥천면 아신리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이 2021년 4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할 당시 원안 노선 종점 지역이었던 양평군 양서면 증동리와 가까운 곳이다.

정 전 군수와 친척들 소유의 토지 중 상당수가 노선 원안상 종점으로부터 1.6㎞가량 거리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가가 선대로부터 증여받거나 상속받아 공동 소유 중인 땅과 함께 정 전 군수가 1998년, 2004년 매입한 땅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동균 전 양평군수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진상규명 TF의 긴급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정 전 군수는 이에 대해 “옥천면 아신리는 아버지의 고향이고, 사촌 형도 살고, 저도 살고, 집안이 많이 살고 있다”며 “제가 지금 살고 있는 아신리 집은 선대 때부터 산 지가 53년 정도 됐다”고 매체에 말했다.

그는 “원안상 종점인 증동리에서부터 제 땅(옥천면 아신리)까지는 거리상 약 1.6㎞ 정도 되는데 길이 없어 거기로 가려면 큰 산을 하나 넘어야 한다. 특혜 의혹은 터무니없다”면서 “원안의 종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땅은 아신리 1개 필지인데 약 300평(883㎡·267평) 된다. 상속받은 땅인데 위치도 잘 모른다. 양평 고속도로와는 전혀 상관없는 땅”이라고 주장했다.

전진선 현 양평군수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열린 '강하IC 포함된 서울-양평고속도로 추진재개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 전 군수 일가에 대한 또 다른 특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알고 보니 ‘더불어민주당 게이트’”라며 “해당 전직 군수는 오늘 민주당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의혹 진상규명 TF 기자회견’에도 참석한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장은 “민주당 논리대로라면 원안은 ‘민주당 전 양평군수 일가 특혜’가 된다”면서 “대통령 부인을 겨냥한 황당 정치 공세는 ‘제 발등 찍은’ 자충수가 될 것이다. 주민이 뭘 원하는지도 모르면서 왈가왈부하지 말라는 주민들의 분노를 직시해야 할 것이다. 민주당은 ‘대통령 부인 일가 특혜론’ 주장하기 전에 ‘자당 소속 전직 양평군수 특혜 의혹’부터 똑바로 조사하라”고 일갈했다.

최재관 더불어민주당 여주양평지역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진상규명 TF의 긴급 기자회견에 참석한 후 보충설명을 하고 있다. 뉴시스

그러자 민주당 측은 고속도로 사업과 연관된 모든 사람에 대한 전수조사를 주장하고 나섰다. 최재관 민주당 여주양평지역위원장은 10일 뉴스1에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정 전 군수의 경우 부모에게 농지를 물려받은 건 사실이나, 실질적으로 그 땅을 투기에 이용한 정황은 없다”면서 “이번 고속도로 사업과 관련해 전수조사를 실시해 정당을 떠나 불법적 행태가 있으면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이 고속도로 변경된 노선의 종점인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 인근에 김건희 여사 일가의 땅이 있어 특혜를 주고자 노선을 변경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반발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사업 전면 백지화 결정을 내리자 민주당은 백지화 취소를 촉구하며 사업이 원안(양서면 종점)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힘을 싣겠다며 원안추진위원회를 구성한 상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