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서자 일본 시민단체들의 저항 움직임이 격화하고 있다.
9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시민단체인 원수폭금지일본국민회의와 원자력자료정보실, 후쿠시마현평화포럼은 지난 7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관계자 이해를 얻지 못한 방류는 약속 위반”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2015년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연합회에 “오염수를 관계자의 이해 없이 처분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담은 문서를 전달했다. 단체들은 방류 반대를 호소하는 홈페이지를 구축해 오는 17일 공개하기로 했다.
반핵·평화운동을 벌여온 원수폭금지일본국민회의는 오는 30일 후쿠시마에서 ‘원수폭 금지 세계대회’를 개최한다. 이 대회를 오염수 해양 방출에 반대하는 총궐기 집회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후쿠시마·미야기·이와테 동북 지방 3개 현에서는 모두 25만4000명분의 방류 반대 서명이 모였다.
도쿄신문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거액의 분담금을 내는 원전 보유국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일각의 비판이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내에서도 IAEA의 객관적 검증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일본이 내는 막대한 분담금과 거출금이 근거로 거론된다. 이 신문은 일본 외무성 외교청서를 인용해 2020년 IAEA에 낸 외무성 자금이 63억엔(약 578억원)이라고 설명했다. 2017년 분담금과 의무 출연금 비율은 전체의 9%로 미국(25%)에 이어 가맹국 중 2위다. 중국(7%) 독일(6%) 프랑스(5%)가 차례로 3~5위다.
분담금과 별도로 내는 거출금도 상당하다. 부처별로 올해 IAEA에 내도록 책정된 예산을 보면 원자력규제청이 2억9000만엔, 문부과학성이 8000만엔, 경제산업성이 4억4000만엔, 환경성이 3000만엔이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생계를 위협받은 경험이 있는 현지 어민들과 관광 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크다. 이들은 정부 차원에서 안전성을 담보하더라도 풍평(소문) 피해로 인한 관광 기피와 수산물 소비 감소는 불 보듯 뻔하다고 토로하고 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